한국 남성 육아휴직 OECD 최장, 하지만 사용률은…

입력
2015.12.02 09:15
구독

‘아버지 유급휴가’ 52.6주로, 프랑스 두 배 수준

육아휴직자 중 남성 비중 4.5%로 주요국에 뒤처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의 남성 육아휴직 보장기간은 세계 주요국 중 최상위이지만 사용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가족 데이터베이스 2015’에 따르면 ‘아버지에게만 주어지는 유급휴가’, 다시 말해 배우자 출산휴가, 남성 육아휴직 등 배우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남성 근로자 유급휴가는 한국이 52.6주로 회원국 가운데 가장 길다. 그 다음은 일본(52주)이었고 프랑스(28주), 룩셈부르크(26.4주), 네덜란드(26.4주)가 뒤를 이었다. OECD 평균은 9주였다.

그러나 실제 남성 육아휴직 사용 비율은 다른 나라에 뒤처진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남성 육아휴직자는 3,421명으로, 남녀를 통튼 전체 육아휴직자(7만6,833명)의 4.45%에 불과했다. 기간 면에선 5개월 남짓한 수준이었다. 반면 OECD에 따르면 노르웨이는 전체 육아휴직의 21.2%, 아이슬란드는 28.5%를 남성이 사용했다. 덴마크와 핀란드는 이 비율이 10.2%, 8.8%였다. 한국은 여성의 62.3%(2013년 기준)만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반면, 이들 나라는 여성 대부분이 육아휴직을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의 남성 육아휴직 비율은 수치보다 더 낮은 셈이다. 다만 일본의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2.03%)은 우리보다 더 낮았다.

세종=남상욱기자 thoth@hankookilbo.com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