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서 지난해 제안한 '대통로' 개설론에 관심 고조

입력
2015.08.23 09:59

북한, 남북관계 '대통로 열기 위한 방안' 제시한 듯

우리는 '3대 소통로' 우선 개통 입장…논쟁 가능성

북한의 포격도발로 인한 대치상황과 관련해 남북 고위급 접촉이 열린 22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우리측 대표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북측 대표로 황병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가 비공개로 회담을 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북한의 포격도발로 인한 대치상황과 관련해 남북 고위급 접촉이 열린 22일 오후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우리측 대표인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홍용표 통일부 장관과 북측 대표로 황병서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김양건 노동당 대남비서가 비공개로 회담을 하기 전 악수를 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남북이 23일 판문점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앞으로의 남북관계 발전 방안에 대해서도 폭넓게 협의한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황병서 북한 총정치국장의 지난해 '대통로 발언'이 관심을 끌고 있다.

북한 권력서열 2위인 황병서 총정치국장은 지난해 10월4일 인천아시안게임 폐회식날 남한을 전격 방문해 정홍원 당시 국무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이번에 좁은 오솔길을 냈는데 앞으로 대통로를 열어가자"고 제안했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도 3개월 뒤인 올해 1월1일 신년사에서 "조국해방 70돌이 되는 올해에 온 민족이 힘을 합쳐 자주통일의 대통로를 열어나가자"며 황병서가 제안한 '대통로'를 다시 부르짖었다.

이에 따라 김정은 제1위원장의 지시를 받고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에 나선 황병서 총정치국장은 이번에도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고 통일로 향하는 대통로를 열기 위한 모종의 방안을 제시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김정은 제1위원장이나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외치는 '대통로'는 남북 정상회담을 거쳐야 들어갈 수 있는 길이라는 점에서 이번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 방안도 의제에 올랐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민생·환경·문화 등 '3대 소통로'부터 길을 내고 단계적으로 대통로를 열어가자는 '소통로' 우선 개통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이번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대통로론과 소통로론의 충돌도 예상할 수 있다.

민생과 환경 분야 '소통로'라는 것은 복합농촌단지를 조성하고 모자보건사업을 확대하며 산림협력 사업을 벌이는 등 박근혜 대통령의 기존 '드레스덴 선언'에 포함된 제안들이 주로 담겨 있다.

또 문화 분야 소통로는 남북 주민간 동질성 강화를 위해 문화재를 비롯한 민족공동유산을 전시하고 남북이 협의의 공간으로 쓸 수 있는 '남북겨레문화원(가칭)'을 서울과 평양에 동시 개설하자는 것이다.

특히 우리 정부가 5·24 조치 해제 문제는 남북 간 대화를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만큼 이번 남북 고위 당국자 접촉에서 5·24 조치 해제 문제도 허심탄회하게 논의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연합뉴스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