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이 증세 없는 복지 대안"

입력
2015.03.25 17:08
구독

작년 1251곳… 7년 새 25배 늘어

사회적 기업이 세금을 더 걷지 않고 복지를 확대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라는 의견이 제시됐다.

25일 사회적기업학회 주최로 서울 중구 연세재단 세브란스빌딩에서 열린 ‘제1차 사회적기업학회 토론회’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사회적 기업이 빈곤, 환경, 취약계층 실업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면서도 정부 예산이 아닌 민간의 자발적 자본과 조직력을 동원하기 때문에 추가 부담 없이 사회 전체의 복지수준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사회적기업학회장을 맡고 있는 조영복 부산대 교수는 “무상복지는 한계가 있어서 증세를 통한 복지재원 조달에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박태규 연세대 교수도 “사회적 기업은 기업경영을 통해 자체적으로 재원을 조달할 수 있기 때문에 사회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사회적기업 관련 지표들이다. 고용노동부가 인증한 사회적 기업은 지난해 1,251개로, 2007년 대비 25배 증가했다. 이들이 채용한 근로자 수는 2007년 2,539명에서 지난해 2만6,229명으로 10배 늘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고경환 연구위원은 “정부와 민간이 사회적 기업에 다양한 지원을 하면 사회문제 해결과 수익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철원기자 strong@hk.co.kr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