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 합의안 번복·수정 없다" 與, 野·유족 압박

입력
2014.08.29 19:58
구독

새누리당이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을 번복하거나 수정할 의사가 없음을 천명하면서 야당과 세월호 유가족을 압박했다. 새로운 합의안이나 양보안 도출 가능성을 일축하는 동시에 다음달 1일 세월호 유가족들과의 3번째 만남을 앞두고 협상의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모양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29일 경기 의왕시에서 열린 ‘농업페어’를 방문한 자리에서 “우리가 백배 양보를 해서 풀린다면 (양보를)하겠는데, 양보할 수 없는 벼랑까지 가 있고, 양보를 하면 우리가 모두 벼랑에서 떨어진다”고 양보 불가 방침을 밝혔다.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현재 합의안을 새로 만들었다든지 양보안을 만들었다든지 하는 상황은 전혀 없고, 그럴 의사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지난 19일 만든) 여야 합의안이 최대한 양보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진상조사위에 수사권 부여하거나 유족에 추천특검추천위원 선정 몫을 내주는 등의 양보론을 전면 반박한 것이다.

하지만 추석 연휴 전에 세월호 특별법을 둘러싼 국정 공백 상황을 풀지 않으면 집권 여당으로서 비판을 면키 어려운 만큼 여당이 이번 사태를 무작정 관망하면 안 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여당 지도부가 연일 민생탐방에 나서는 것도 추석을 앞두고 세월호 정국에 대한 민심의 추이를 지켜보기 위한 행보라는 해석도 있다.

비판 여론을 감안해 김 원내수석부대표는 “9월 1일 세월호 유가족과 다시 만나 수사ㆍ기소권을 포기하고 다시 특검 지명에 대해 여러 주장을 하시면 또 새로운 논의가 시작되리라 본다”며 세월호 유가족들의 입장 변화를 전제로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세월호 가족대책위는 당장 새누리당의 압박에 반발했다. 대책위는 이날 청운효자동주민센터 농성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진상규명을 바라는 유가족과 국민 마음은 흥정 대상이 아니다”며 “여야가 최대한의 양보나 최선의 합의 같은 말이 아닌 진상규명과 안전사회 건설을 위해 어떤 특별법을 만들고자 하는지로 설득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유가족의 이야기를 경청하거나 각 정당의 입장을 모아 토론하는 역할을 가장 게을리해온 새누리당이야말로 민생의 발목을 잡아온 것”이라고 질타했다.

김현빈기자 hbkim@hk.co.kr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