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지능(AI) 활용 에크모(ECMO) 적용 사망률 예측 모델 개발 [분당서울대병원]

입력
2024.03.08 08:37
구독

분당서울대병원 등 공동 연구팀이 국산화에 성공한 에크모(ECMO).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분당서울대병원 등 공동 연구팀이 국산화에 성공한 에크모(ECMO).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의 ‘체외막 산소 공급 장치(ECMO)’를 적용할 때 인공지능(AI) 머신러닝으로 사망률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임성윤(호흡기내과)·정세영(가정의학과) 분당서울대병원 교수팀이 개발한 이 연구결과는 호흡기 및 폐질환 분야 국제 학술지 ‘BMJ respiratory research’에 실렸다.

ECMO(에크모)는 심장·폐 기능을 대신해 혈액을 환자 몸에서 빼내 체외 산화 장치에서 산소를 혈액에 주입하는 동시에 혈액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다시 환자 몸속으로 돌려보내는 생명 유지 장치다.

특히 ECMO는 중증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게 중요한 치료법이지만 ECMO 치료에도 불구하고 사망률은 60% 이상으로 높은 편이다.

ECMO 치료를 시행할 때 사망률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면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ECMO를 써도 생존율이 매우 낮은 환자의 경우 위험한 부작용을 감수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현재 임상 현장에는 사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환자가 있어도 이들에게 ECMO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표준화된 가이드라인은 없는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2012~2015년 전국 16개 3차 병원에서 ECMO 치료를 받은 급성 호흡부전 환자 368명의 다양한 생체 신호 및 임상 데이터에 기계 학습(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해 90일 이내 사망률을 예측하는 ‘익스트림 그라디언트 부스팅(XGB)’과 '라이트 그라디언트 부스팅(LGB)'을 개발했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전자 건강 기록(EHR) 시스템에서 수집한 40가지 특성이다.

연구팀은 이번 예측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해 내·외부 검증을 통해 기존 ECMO 생존 예측 모델 RESP, PRESERVE와 비교했다. 평가 지표는 AUROC(수신자 조작 특성 곡선 아래의 면적)를 사용했다.

AUROC는 어떤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특정 검사 도구의 진단 정확도를 나타내는 통계 기법으로 AI 러닝 모델의 성능 평가 지표로 주로 사용된다.

연구 결과, 90일 사망률 예측 성능에서 AUROC 수치가 ‘익스트림 그라디언트 부스팅(XGB)’ 모델은 0.82, ‘라이트 그라디언트 부스팅(LGB)’ 모델은 0.81로 기존 모델인 RESP(0.66), PRESERVE(0.71)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외부 검증에서도 ‘익스트림 그라디언트 부스팅(XGB)’ 모델이 0.75로 RESP(0.70), PRESERVE(0.67) 모델보다 높은 성능을 나타냈다.

정세영 교수는 “중증의 급성 호흡부전 환자에서 ECMO 료 적용에 대한 기계 습 모델 연구는 이 분야에서 최초로 시행된 연구”라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