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럽 지역 대홍수로 인한 사망자가 약 200명까지 늘어났다. 통신망이 제대로 복구되지 못한 상황에서 연락이 닿지 않은 실종자도 여전히 1,000명이 넘는다. 막대한 피해가 기상이변보다는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재해 상황을 주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도 못한 후진국적 경보 시스템 탓이라는 비판이 연일 커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독일 공영방송 도이체벨레(DW) 등에 따르면 이번 대홍수로 라인란트팔츠주(州)에서 117명이 숨져 가장 큰 인명 피해를 입었다. 이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47명, 오버바이에른 베르히테스가덴주 2명 등을 포함해 모두 166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라인란트팔츠주 당국자는 사망자 중 신원이 확인된 이들은 3분의 1밖에 안되고 연락이 두절된 이는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웃 벨기에도 이번 홍수로 31명이 목숨을 잃었다. 실종 추정자도 70명가량 된다. 홍수로 끊긴 전기와 가스, 식수 등이 복구되려면 적어도 몇 주가 걸릴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독일에선 '경보 시스템 실패'를 규탄하는 목소리가 크다. 피해가 가장 심각한 라인란트팔츠주의 아르바일러 지역 주민 상당수가 침수 전 지방 당국이나 소방, 경찰로부터 아무런 경고를 받지 못했다고 DW는 전했다. 독일 일간 디벨트는 "기상학자들은 날씨에 따른 위험을 예보하고 정부는 재해 대책에 따라 위험지역의 사람들에게 제때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며 "방글라데시나 모잠비크와 같은 개발도상국도 이런 방식으로 극단적 기후에 따른 희생자를 줄였다"고 자국의 부실한 재해 대책을 꼬집었다.
연방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선 '네 탓 공방'이 시작됐다. 호르스트 제호퍼 독일 내무장관은 연방 공무원들이 실수를 저질렀다는 지적을 일축하면서 "재난 보호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경고가 지방 당국에 전달됐다"고 해명했다. 주민들이 제때 대피하지 못한 책임을 지방 정부에 돌린 것이다. 그런가 하면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헤르베르트 로일 내무장관은 조기 경보 체계가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못했음을 인정하면서도 시스템의 근본적 문제는 보지 못했다고 선을 그었다. 그의 대변인은 또 하위 행정구역 당국에 재해 경고를 전달했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