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엔딩과 쓰레기

입력
2024.04.10 17:00
26면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벚꽃이 막바지다. 봄바람이 불며 꽃비도 흩날린다. 서울 석촌호수와 양재천, 안양천 등 벚꽃놀이 명소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벚꽃 엔딩’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인산인해다. 벚꽃구경인지 사람구경인지 분간이 안 돼도 괜찮다. 저마다 휴대폰을 꺼내 순간을 영원에 담는다. 모두가 모델이고 사진 작가다. 이 순간 사랑하는 사람과 온전히 벚꽃의 아름다움에 취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하고 행복하다.

□ 그러나 고개를 돌려 여기저기 버려진 플라스틱 컵과 페트병, 비닐봉지들과 먹다 남은 음식물들까지 산처럼 쌓여 있는 걸 보면 인상을 찌푸리게 된다. 자연은 이렇게 찬란한 꽃 선물을 주는데 인간은 악취 나는 쓰레기만 되돌려주는 꼴이니 한없이 부끄러워진다. 세상이 바뀌고 사는 것도 나아졌다고 하는데 이기심과 의식 수준은 크게 달라진 게 없는 듯하다. 쓰레기 무단 투기 과태료도 큰 효과가 없다.

□ 벚꽃 축제장만 그런 게 아니다. 금수강산이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청정 제주'마저 위기다. 일년살기를 하고 있는 한 지인은 제주의 바다는 물론이고 올레길과 오름, 곶자왈, 돌담길까지 온통 쓰레기로 뒤덮여 있는 걸 보고 충격에 빠졌다. 그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사진은 신음하는 제주의 속살, 아니 우리의 민낯을 고발한다. 해양 쓰레기야 중국에서 넘어온 것이라고 발뺌할 순 있지만 땅 위 쓰레기는 핑계도 댈 수 없다. 모두 누군가 버린 것이다. 우리가 내팽개친 양심이고, 과소비와 탐욕의 껍데기다.

□ 자연은 쓰레기를 남기지 않는다. 벚꽃은 져도 거름이 된다. 마지막까지 아름다운 이유다. 우린 썩지도 않을 쓰레기를 매일 쏟아낸다. 우리가 하루에 배출하는 생활폐기물은 1인당 1㎏에 육박한다. 환경부 조사결과다. 우리나라 전체로 따지면 일일 총폐기물이 51만 톤도 넘는다. 연간 2억 톤에 가깝다. 1년간 1회용품 발생량도 70만 톤이나 된다. 지구 한구석에서 잠시 머물다 갈 존재인 인간은 이처럼 막대한 쓰레기로 대자연을 괴롭히는 악당이 됐다. 아무리 그래도 벚나무 아래엔 쓰레기를 버리지 말았으면 한다. 벚꽃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쓰레기 엔딩'이 돼선 곤란하지 않나.


박일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