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도발 관련 대응을 논의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결국 안보리 차원의 단합된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이에 한국을 포함한 10개국은 별도의 공동선언문을 내고 북한의 ICBM 시험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했다.
안보리는 1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이 지난 18일 동해상으로 발사한 ICBM과 관련해 안보리 차원의 대응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상임이사국인 미국의 요청으로 소집됐다.
유엔 정무·평화구축국(DPPA)의 칼레드 키아리 중동·아시아·태평양 사무차장은 이날 안보리 보고에서 "올해 이 문제에 대한 안보리 회의가 여러 차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추가 발사를 자제하라는 안보리의 강력한 요청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유감스럽게도 북한은 또다시 영공 및 해상안전에 관한 안전 통보를 하지 않았다"며 "예고되지 않은 발사는 국제 민간항공 및 해상교통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라고 지적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성명을 통해 북한의 ICBM 발사를 강력히 규탄하고 안보리 결의에 따른 국제법 준수를 촉구했다.
로버트 우드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 차석대사는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이번 ICBM 발사와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발사가 어떤 식으로든 정당화되거나, (한미) 회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어처구니없는 일"이라고 규탄했다.
황준국 주유엔 한국대사도 이날 이해 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해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력히 규탄했다.
다수의 안보리 이사국이 북한의 ICBM 발사를 규탄했지만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의 입장을 옹호했다. 겅솽 유엔 주재 중국 대표부 부대사는 북한의 ICBM 발사를 미국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며 그 책임을 미국에 돌렸다. 이해 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한 김성 주유엔 북한대사도 한미가 군사위협을 지속하고 있다며 북한의 핵무기 개발 책임을 한미에 전가했다.
결국 이날 안보리 회의는 아무런 성과 없이 약 1시간 30분 만에 종료됐다. 이 같은 회의 결과가 어느 정도 예견되자 한국과 미국 등 10개국은 이날 안보리 회의 시작 전에 공동선언문을 발표하고 계속되는 북한의 도발을 강력히 비판했다. 10개국은 공동선언문에서 "우리는 북한의 지난 17일 ICBM 발사와 그 이전 발사를 가장 강력한 용어로 규탄한다"고 밝혔다.
공동선언문에는 한국과 미국을 비롯해 알바니아, 에콰도르, 프랑스, 일본, 몰타, 슬로베니아, 스위스, 영국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