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울산 남구 SK이노베이션 정유화학 복합단지 '울산콤플렉스(CLX)' 한편엔 수십 대의 덤프트럭과 굴삭기가 바삐 움직이고 있었다. SK그룹 내에서 화학제품을 만들어 온 SK지오센트릭의 새 성장 동력으로 낙점된 '도시 유전(油田)' 건설을 위해서다. 다음 달 정식 착공해 2025년 말 공장이 예정대로 지어지면 이곳에서는 지금까지 땅에 묻거나 태워야만 했던 '활용 불가 폐플라스틱(오물이 묻거나 심하게 훼손된 제품)'이 다양한 자원으로 재탄생할 수 있게 된다.
SK지오센트릭이 '재활용'으로 미래 자원 시장을 이끌겠다며 재활용 복합공장 구축에 나섰다. 울산CLX 내 21만5,000㎡ 부지에 만들어질 신사업 단지 이름은 '울산ARC(Advanced Recycling Cluster)'로 지어졌다. 국제 규격 축구장 22개 넓이의 땅에 총 1조8,000억 원을 들여 클러스터를 만드는 큰 사업이다. 공사 현장에서 만난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울산ARC가 가동되면 매년 500mL생수병(약 15g) 213억 개에 달하는 폐플라스틱 32만 톤(t)이 재활용된다"고 했다.
SK지오센트릭이 울산ARC에서 선보이는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은 화학적 재활용이다. ①재활용이 어려운 비닐과 같은 플라스틱을 300~800도 고온으로 가열해 인공 원유를 만드는 열분해, ②고온에서 높은 압력을 가한 뒤 오염 물질을 제거해 순수한 폴리프로필렌(PP)만 빼내는 고순도 PP 추출, ③색깔이 있는 페트(PET)병 등 플라스틱을 이루는 큰 분자 덩어리를 해체시켜 플라스틱의 기초 원료 물질로 되돌리는 해중합까지 3대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한곳에서 구현하는 복합 재활용단지는 울산ARC가 세계 최초라는 게 SK지오센트릭 측 설명이다.
이들은 특히 2026년부터 수도권매립지의 폐기물 매립이 금지되고 2030년부터는 전국적으로 생활쓰레기를 직접 땅에 묻는 행위가 금지돼 앞으로 이 공장의 역할은 더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술력에 대한 자신감도 넘친다. SK지오센트릭 측은 "재활용의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물리적 재활용은 투명 PET병 등 제한된 쓰레기만 잘게 쪼개는 방법으로만 재활용이 가능해 반복적 재활용이 어렵지만 화학적 재활용은 플라스틱의 오염도, 색상 등과 상관없이 폐플라스틱 대부분을 다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기 때문이라는 게 이들 설명이다.
앞으로 열분해유를 더 많이 활용하기 위한 차별적 기술(후처리)까지 확보하면 경쟁력은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열분해유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비닐, 라면봉지 등을 녹인 기름"이라며 "지금까지는 여러 찌꺼기들이 들어있어 품질이 다소 낮은 경유나 보일러 연료로만 썼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K지오센트릭이 독자 개발한 열분해 후처리 기술로 만든 제품(열분해 후처리유) 중 일부를 울산CLX 나프타 분해 설비에 투입해 순환 경제를 완성할 것"이라고 했다.
울산 내에서의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해 SK지오센트릭을 넘어 SK그룹 차원에서 지역 사회 및 사회적 기업들과 협력도 강화한다. 특히 울산 앞바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는 울산항만공사와 수거된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양말이나 헬멧, 우산 등 번듯한 상품을 만드는 사회적기업 우시산 등과 협업 등이 대표적이다. SK그룹 관계자는 "해양에서 거둬들이는 폐플라스틱 등도 울산ARC에서 새로운 자원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