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암 70%가 남성…흡연과 비만이 주원인

입력
2023.06.17 09:10

매년 6월 18일은 국제콩팥암연합(IKCC)이 콩팥암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정한 ‘세계 콩팥암의 날’이다. 콩팥암은 암 종양이 어느 정도 커져 콩팥 구조가 변형되거나 장기를 밀어낼 정도는 돼야 증상이 나타나 진단이 늦어질 때가 많다. 발견하기 어려운 콩팥암에 대해 유구한 강동경희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와 함께 알아봤다.

◇콩팥암 환자 10명 중 7명은 남성…흡연ㆍ비만 때문

2023년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의 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암 발생 24만7,952건 중 콩팥암(질병 코드 C64)은 5,946건으로 2.3%를 차지했다. 특히 콩팥암 환자 10명 중 7명은 남성(남성 4,135건 여성 1,811건)이었다.

유구한 교수는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높은 흡연율과 비만율이 원인으로 꼽힌다”며 “고혈압도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담배는 흡연량 및 흡연 기간에 비례해 위험도가 높아지며, 비흡연자보다 콩팥암 발생 비율이 2배가량 높아진다”고 했다. 유 교수는 “남성 콩팥세포암 환자의 20~30%, 여성 환자의 10~20%에서 흡연이 관련 있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콩팥암도 다른 암처럼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을 때가 많다. 콩팥암이 진행돼 나타나는 3대 증상으로는 △옆구리 통증 △혈뇨 △옆구리 또는 윗배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등이다.

하지만 이들 세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는 경우는 10~15%에 불과하고, 증상 때문에 병원을 찾으면 이미 병이 상당히 진행됐을 때가 많다. 최근에는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복부 초음파검사 등 영상 진단으로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조기 진단과 비침습적 치료가 중요

콩팥암을 1기에 발견해 조기 치료하면 5년 생존율이 88~100%에 달한다. 이처럼 조기 진단과 비침습적 치료가 중요하기에 정기적으로 건강검진을 받는 게 매우 중요하다.

유구한 교수는 “콩팥암의 절반 이상이 건강검진이나 다른 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다”며 “전이되거나 재발한 콩팥세포암은 완치가 어려울 때가 많아 되도록 빨리 발견해 비침습적 치료를 하는 게 좋다”고 했다.

콩팥암은 초음파검사,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고형 종양이 의심되면 복부 CT 또는 MRI 검사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종양 작으면 콩팥 조직 살리면서 종양 제거 가능

콩팥세포암 치료는 암 진행 정도와 환자 나이, 전신 상태, 동반된 다른 질환 유무 등에 따라 정한다. 현재로서는 수술로 암을 제거하는 게 최선이다.

종양이 작으면 주변 콩팥 조직을 살리며 종양만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종양이 크거나 큰 혈관을 침범하면 콩팥을 포함해 종양을 없앤다.

다른 장기로 전이되지 않았으면 개복(開腹)이나 복강경ㆍ로봇 수술로 근치적 콩팥적출술이나 콩팥암 부분 절제술로 종양을 절제한다.

콩팥암 부분 절제술은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해 콩팥으로 가는 동맥을 차단하고 종양을 완전히 절제한 후 신속히 봉합해 남은 콩팥 기능을 최대한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종양을 제거하고 2~4주 지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콩팥세포암 수술 후 1~2년에 재발이 잦지만 10~15년 지나서도 재발했다는 보고도 있기에 재발이나 진행 여부에 대한 추적 검사가 필요하다.

CT나 MRI 등 영상 검사로 정기적 추적 관찰을 시행한다. 추적 관찰 중에 재발이 되면 항암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