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장사 5곳 중 1곳이 영업 활동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 못하는 한계기업인 것으로 조사됐다. 6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규모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2일 공개한 '상장사 한계기업 비중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17.5%(지난해 말 기준)가 한계기업이었다. 상장사 한계기업 비중은 2016년 9.3%에서 2017년(9.2%) 소폭 줄어든 이후 매년 증가해 2021년 16.5%에 달했다.
지난해 한계기업을 업종별로 보면 ①사업시설 관리·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 30.4%로 비율이 가장 높았고 ②운수·창고업(25.8%) ③전문 과학·기술 서비스업(25.0%) ④도매·소매업(23.2%) ⑤정보통신업(16.8%) 등의 순이었다.
한계기업은 외부 충격에 취약한 코스닥 상장사에 집중됐다. 2016년만 해도 코스피, 코스닥 상장사의 한계기업 비율은 9.3%로 같았으나 2022년에 코스피(11.5%)는 조금 오른 반면 코스닥은 20.5%까지 급증했다.
지난해에는 당해 연도 영업이익이 이자 비용보다 적은 일시적 한계기업이 30.8%나 됐다. 다만 일시적 한계기업은 2018년까지는 20%대였으나 2019년 30%대에 진입했다. 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생 첫해인 2020년 34.6%로 최고점을 찍은 뒤 2021년(30.7%) 이후 낮아지는 추세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2020년부터 확산한 코로나19, 급격한 금리 인상, 최근의 경기 악화 등이 한계기업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안정적 금융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업종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