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더불어민주당의 쇄신 의원총회 이후 당내 혼란이 커지고 있다. 의총에서 지도부 책임론이 제기되고 김남국 의원 윤리위 제소 요구를 지도부가 결의문에서 뺐다는 비판이 더해지면서 지도부 총사퇴론까지 거론된다. 강력한 쇄신으로 위기를 넘고 내홍을 정리하는 것이 지도부가 해야 할 역할인데 심각한 리더십 실패다.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가장 각성해야 한다.
이 대표는 ‘지도부가 아무것도 안 한다’고 비판한 홍기원 의원을 지목해 “팩트와 다른 내용을 말하면 어떻게 하느냐”고 했다는데, 김남국 사태에서 뒷북 대응으로 일관했던 게 사실이다. 당 차원에서 실태를 파악하겠다거나 재산공개에 포함시키겠다는 대응조차 없이 방관하다가 뒤늦게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회피성 탈당을 막지 못하고선 “다시 한번 김 의원에게 자료와 협조를 요청했지만 아직 답변을 듣지 못했다”(김한규 원내대변인)는 반응이 고작이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전수조사를 하도록 의원들 개인정보제공동의서를 제출한 건 정의당뿐이다.
의원들 요구보다 더 강력한 쇄신 의지를 표명해도 부족할 판에 오히려 뭉개는 형국이니 이 대표와 최고위원들에게 총사퇴하라는 말이 나오는 게 아닌가. 이상민 의원은 “(쇄신) 결의가 실효성이 있으려면 기존 구조물이자 쇄신 대상인 이 대표와 그 맹종파에 대한 조치가 선결돼야 한다”고 페이스북에 썼다. 조응천 의원은 라디오에서 “(이 대표 최측근인) 사람이 비위에 연루돼 열흘 가까이 지났는데도 (지도부가) 제대로 맺고 끊는 게 없다”고 비판했다.
친명계 의원들은 김 의원을 두둔하거나 검찰·언론을 탓하고 자성의 목소리에 불만을 토로하는 등 반발하고 있다. 강성 지지자들도 김 의원 비판에 문자·전화로 항의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분란도 결국 지도부가 중심을 잡지 못하는 탓이다. 이를 계파 갈등으로 치부한다면 오판이다. 지도부가 정신 차리고 쇄신책을 실행하기 바란다. 국회 윤리위 제소나 전수조사 등 의총 결의문 이상을 하겠다는 각오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