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전 강원 동해시 북동쪽 59㎞ 해역에서 규모 4.5 지진이 발생했다. 올해 가장 큰 규모로, 동해와 삼척, 강릉은 물론 경북 영주, 안동에서까지 흔들림 감지 신고가 잇따르며 주민들이 놀란 가슴을 쓸어내렸다. 다행히 피해는 없었지만, 더 큰 지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정부와 지자체는 시설물 안전과 국가 기반 서비스를 철저히 점검하고 재난 대응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이번 지진을 눈여겨봐야 하는 이유는 올 들어 비슷한 위치에 지진이 집중되고 있어서다. 동해시 인근 해역에선 3월 22일 첫 지진 발생 이후 어제까지 55일간 55차례나 지진이 기록됐다. 이번과 같은 동해시 북동쪽 해역의 규모 2.0 이상으로만 한정해도 13번에 이른다. 심상치 않지만 어제 지진이 본진인지, 앞으로 더 큰 지진이 이어질 전조인지 판단이 어렵다. 더 큰 지진이 혹여 일어나더라도 피해를 최소화할 있도록 빈틈없는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게 최선이다.
지진 예측이 어려운 건 기술 한계도 있지만, 단층을 모르는 탓이 크다. 정부는 2016년 경주 지진을 계기로 이듬해 전국적인 단층 조사를 시작했으나, 2036년에야 마무리된다. 국민 불안감을 감안하면 너무 더디다. 이마저도 내륙 위주라 해저 단층에 대한 정보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울릉도 남쪽 해저에 설치했던 해저지진계도 철거된 지 오래다. 단층을 모르니 동해에 응력이 얼마나 쌓였는지, 이번 지진으로 얼마나 해소됐는지 추정이 가능할 리 없다. 해저 단층은 주변국과 공동으로라도 조사하는 방안을 검토해봄직하다. 정부는 인구가 많거나 원전이 있는 지역 등을 중심으로 2027년까지 지진관측소 329개를 확충한다는 계획인데, 이 역시 더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
지진이 났을 때 행동요령이나 대피장소를 모르는 이도 여전히 많다.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대피소가 부족하거나 관리가 부실하지 않은지도 살펴야 한다. 재난 대비는 아무리 꼼꼼해도 지나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