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민 주일 한국대사가 한국 정부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징용) 피해자 배상 해법 발표 후에도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일본 측의 이해와 호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사는 일본 아사히신문이 12일 보도한 인터뷰에서 이번 발표에 대해 ‘양국 지도자의 결단’으로 이뤄진 결과라고 평가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북한의 핵 개발과 미국과 중국 간 대립 등 국제정세 변화에 대해 한일 정상이 절박함을 느낀 것이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또 1998년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당시 일본 총리의 ‘한일 공동선언’이 냉전 종식 후 양국 관계가 심화하는 초석이 됐다면, 지금의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그 관계를 “‘버전 2.0’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나 이를 위해선 일본 측의 이해와 자발적 기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사는 “피해자들이 계속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있고, 지속 가능한 해결책이 되지 않을 수 있다”며 “(한국) 국민과 피해자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일본의 호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제동원 해법이 한일 위안부 합의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피해자의 마음을 달래고 반대하는 사람도 설득할 수 있는 일본의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일본에선 문제가 법적으로 끝났다고 생각하겠지만, 피해자들은 그럴 수 없는 마음이 있다는 걸 이해해 달라”며 “‘일본의 할 일은 다 끝났다’가 아니라, 함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 시작됐다는 견해를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사는 오는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통해 한일 관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내비쳤다. 그는 “양국 정상이 만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며 “과거를 직시해야 하지만, 미래에 어떤 협력을 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가 많이 이뤄지면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국 정상이 정례적으로 상대국을 방문하는 ‘셔틀 외교’를 염두에 두고 “기시다 총리가 언제든지 필요하면 한국에 오면 좋겠다”고 덧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