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종양은 뇌를 둘러싸고 있는 두개골 안에 생기는 종양을 말한다.
중앙암등록본부 자료(2022년)에 따르면 2020년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뇌종양 환자는 1,785명으로 전체 신규 암 환자 24만7,952명의 0.7%였다.
대한뇌종양학회는 현재 국내에서 뇌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2만여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병률은 일반에 알려진 두려움에 비해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뇌에 생기는 악성 종양, 즉 뇌종양을 뇌암으로 부르지 않는 이유는 뇌종양의 일반적인 암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먼저 뇌종양은 다른 기관으로 전이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뇌가 다른 기관과 혈관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뇌 혈관에는 ‘뇌혈관장벽(BBBㆍBlood Brain Barrier)’이라는 촘촘한 경계선이 있어 뇌 속에서 종양이 발생하더라도 혈관을 타고 다른 기관으로 전이가 잘되지 않는다.
또 뇌종양은 보통 병기(病期)로 구분하는 다른 암과 달리 등급으로 분류한다. 종양 세포의 분열 속도 등으로 고려해 등급을 나눈다.
보통 1등급은 양성, 2등급은 경계성, 3~4등급은 악성이다. 다만 뇌종양은 1·2등급이라도 경우에 따라 임상적 악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윤완수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외과 교수는 “뇌종양은 ‘뇌’라는 미지의 영역에 또 다른 미지의 질환인 ‘종양’이 발생하는 병으로 일반인의 경우 이름이 주는 두려움과 어려움을 모두 가지기 쉽다”고 했다.
윤 교수는 “비록 뇌종양이 심각한 장애를 초래하거나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질병이긴 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의학과 기술의 발달로 치료에 많은 발전이 있었고 새로운 치료법이 계속 보고되고 있는 만큼 조기에 병원을 찾아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뇌종양은 양성과 악성을 모두 포함한다. 양성 종양에는 뇌수막종, 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등이 있다. 악성 종양은 신경교종, 전이성 뇌종양, 림프종 등이 포함된다.
발생 부위에 따라 원발성과 전이성으로 나뉘는데 뇌 조직이나 뇌막 등에서 발생하면 원발성 뇌종양, 신체의 다른 암으로부터 혈관을 타고 전이된 경우를 전이성 또는 이차성 뇌종양으로 부른다.
이 가운데 가장 흔한 원발성 뇌종양의 경우 뇌수막종이 35%로 가장 많고 신경교종 25%, 뇌하수체선종 20%, 신경초종 10%, 기타 종양 10%를 차지한다.
뇌종양 발생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다만 뇌 손상ㆍ방사선ㆍ유전ㆍ연령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이 악성 신경교종의 발생 위험을 1.22배 증가시킨다는 국내 연구도 있다.
증상은 발생 위치나 크기, 종류, 커지는 속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표적인 증상은 두통, 성격 변화, 편측 마비, 언어장애, 발기부전, 시력 저하, 어지럼증, 청력감소, 경련 등이다.
노인의 경우 치매 같은 기억력 저하나 행동 이상 등 인지 기능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만 증상만으로 뇌종양을 특정하기는 어렵다.
가장 흔한 증상은 두통이다. 두통이 생기는 이유는 뇌종양 때문에 뇌 부피가 늘어나 뇌 속 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뇌종양 환자의 70%에게서 두통을 호소한다.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 혹은 새벽에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뇌신경에 종양이 있으면 후각·시각·청각 장애와 어지럼증, 안면 마비, 연하(삼킴)장애, 음성 변화 등이 생길 수 있다.
뇌하수체에 발생하면 부피가 커지면서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장애를 동반한다.
소뇌와 뇌간에 발생하면 균형 감각을 잃고 술 취한 사람처럼 걷는 운동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뇌 왼쪽 측두엽에 발생하면 단어가 잘 생각나지 않거나 기억력이 떨어지고 망상이나 경련을 보일 수 있다. 두정엽에 발생하면 편측으로 운동 또는 감각 마비가 발생하고 단어의 발음에 부조화를 보인다.
또 공간 지각력이 떨어지고 좌우를 혼동하거나 계산 능력이 떨어지며 글을 쓰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두엽 부위에 생기면 성격이 변하거나 기억력 장애, 언어장애와 인지기능이 낮아지기도 한다.
윤완수 교수는 “평소 두통이나 시력 저하, 기억력 장애 같은 증상을 노화나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증세라고 소홀히 여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노인의 경우 기억력 저하 등 인지 기능 변화는 환자 본인 스스로 판단할 수 없고 주위에 명확히 표현되기 전까지는 가족들도 알아차리기 어려워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했다.
뇌종양 치료는 종양 종류ㆍ위치ㆍ증상에 따라 결정된다. 노인의 경우 연령이나 기저질환 여부도 중요하게 고려한다.
뇌수막종ㆍ신경초종ㆍ뇌하수체선종 같은 양성 종양은 수술이 원칙이다. 다만 수술이 어렵거나 거부감을 가진 환자는 방사선 치료를 진행한다. 증상이 없거나 크기가 작으면 수술 없이 경과 관찰을 하기도 한다.
악성 종양은 환자 나이와 기저질환을 고려해 치료법을 정한다. 외과적 절제술이 원칙이지만 기저질환이 심각한 노인의 경우 수술이 항상 우선되지는 않는다.
뇌종양 수술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두개골을 여는 개두술을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종양 수술의 상당수는 뇌 내시경 수술(Endoscopic neurosurgery)로 진행된다. 뇌의 가장 밑바닥 부위인 뇌 기저부에 발생하는 뇌수막종, 뇌하수체종양, 두개인두종 등이 주요 적용 대상이다.
뇌 내시경 수술은 뇌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고 수술 흉터가 거의 남지 않아 환자의 수술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수술 후 출혈과 통증이 적어 입원 기간을 줄인다. 환자 콧속으로 내시경을 넣어 뇌 바깥쪽에서 종양 부위로 접근해 뇌 손상과 수술 후 상처 없이 종양을 제거한다. 경우에 따라 눈썹 주름선을 따라 2~3㎝만 절개하고 뇌종양을 떼어내기도 한다.
환자와 의사가 대화를 하면서 진행하는 각성 수술도 있다. 각성 수술은 종양과 정상 뇌와의 경계가 모호한 종양을 잘라낼 때 정상적인 뇌 기능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가급적 많은 종양을 떼어내 종양과 뇌 기능의 밸런스를 맞출 때 시행된다.
윤완수 교수는 “각성 수술이 필요한 이유는 위치에 따른 뇌 기능이 100%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 있다”며 “개인별로 뇌 발달 과정이 다르므로 뇌의 각 영역의 기능이 비슷할 수는 있어도 동일하지는 않다. 특히 인지 및 언어 기능과 같은 상위 뇌 기능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