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제2의 중동의 붐을 맞이하려면

입력
2023.01.24 19:00
25면


사우디, UAE 등에서 이어지는 한국과의 경제협력 결정
중동의 2세대 지도자, 한류 열풍이 함께 작용한 결과물
경제협력 뛰어넘어 대학생 상호교류 등 상호접점 늘려야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4~17일 아랍에미리트(UAE)를 국빈 방문했다. 삼성 이재용 회장, SK 최태원 회장, 현대차 정의선 회장 등 재계 총수들이 총출동했고, 양국은 300억 달러(약 37조 원) 규모의 투자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무함마드 빈 자이드 UAE 대통령은 지난해 5월 대통령직에 공식 취임한 이후 첫 번째 국빈으로 맞이한 윤 대통령을 극진하게 예우했다. 아부다비 시내 도로변에 태극기가 무수히 내걸렸다. 아부다비 대통령궁 상공에 태극무늬가 그려지는 '에어쇼'가 펼쳐졌고, 대통령궁 지붕엔 태극기를 상징하는 조명이 밝혀졌다.

윤 대통령의 UAE 방문은 작년 11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한국 방문과 함께 제2의 중동 붐을 지피고 있다. 한국 기업의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이 큰 상황에서 UAE, 카타르와 같은 중동 산유국들과 우리나라의 경제협력이 강화되자 '오일머니 잭팟'을 기대하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중동 산유국들은 새로운 리더십하에서 전략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UAE의 무함마드 빈 자이드 대통령, 카타르의 타밈 빈 하마드 국왕은 모두 젊은 2세대 지도자들로 평가된다. 차세대 지도자들의 야심찬 미래 비전 청사진하에서 중동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회의 땅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에너지, 건설 분야를 중심으로 단조로웠던 과거와 달리 다차원적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한-UAE 정상회담 선언문은 청정에너지, 핵에너지, 탈탄소화, 기후변화, 제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 보건의료, 수자원, 식량안보 등 광범위한 협력 방안을 담아냈다. 이런 점에서 윤 대통령은 동포 간담회를 통해 "포스트 오일시대를 준비하는 UAE와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가진 대한민국은 최상의 파트너"라며 "두 나라의 미래 공동 번영을 위한 획기적인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기에 중동 내 한류 열풍은 한-중동 협력 강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지난해 10월 사우디의 수도 리야드에서 K컬처 페스티벌 'KCON 2022'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카타르 월드컵 개막식에서 BTS 정국이 공식 주제가 '드리머스'를 부른 것은 한류의 인기를 보여준다. K팝,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인기를 얻고, 한국에 대한 우호적 이미지가 형성되는 것은 제2의 중동 붐을 앞당기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하지만, 뭔가 빠진 듯 허전한 느낌이 든다. 에너지 자원의 공급처이자 경제 다각화에 따른 기회의 땅으로서 중동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지만 정작 이 지역에 대해 순수하게 이해하려는 노력이 턱없이 부족한 탓이다.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2019년 아산정책연구원 연례조사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중동에 대한 이해가 낮고 편향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점에서 한-중동 협력을 경제적 수준 이상으로 확대, 발전시키기 위한 장기적 협력 방안, 새로운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필자는 지난해 외교부의 후원으로 열린 한-중동 협력포럼에서 압둘아지즈 알 호르 카타르 외교연구원 원장의 발표에 토론자로 참여했다. 알 호르 외교연구원장은 한-중동 관계의 발전을 위해서 상호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문화·인적 교류 확대가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중동의 역사와 문화, 현지 언어 등을 더 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한-중동 대학생 등 민간 차원의 상호 교류를 늘리기 위한 방안을 적극 강구할 필요가 있다. 경제적 차원의 세일즈 외교, 비즈니스 차원의 접근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그래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이란 주적' 논란 같은 불필요한 언쟁을 줄이고, 진정한 제2의 중동의 붐을 맞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강석 한국외대 아랍어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