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두 달 연속 경기 둔화에 대해 우려했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가 경기 성장의 발목을 잡고, 수출 회복세마저 제약되면서 한국 경제가 휘청거릴 수 있다는 진단이다.
기획재정부는 20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를 통해 “대외 여건 악화 지속 등으로 물가 상승세가 확대되고 향후 수출 회복세 제약 등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경기 둔화 우려를 언급한 데 이어 이달에도 같은 평가를 이어간 것이다.
각종 경제지표는 경기 둔화를 이미 가리키고 있다. 치솟은 국제 유가 여파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6.0% 올랐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이다.
물가가 뛰다 보니 가계의 소비 여력은 줄고 있다.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5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0.1% 줄었다. 이 수치가 3개월 연속 감소한 건 코로나19 발발 직후인 2020년 3월 이후 처음이다. 1분기 설비 투자 역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9% 쪼그라들었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 온 수출마저 흔들리고 있다는 점도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는 부분이다. 기재부는 이날 보고서에서 “대외적으로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주요국의 금리 인상 가속화, 중국 성장 둔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지속되고 글로벌 경기 하방 위험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고 내다봤다. 국제 경기가 후퇴할 경우 수출 역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실제 지난달 수출액은 1년 전보다 5.2% 증가하는 데 그쳤다. 수출 증가율이 한 자릿수로 내려온 건 16개월 만이다. 반면 수입은 같은 기간 19.4%로 늘어 6월 수출은 25억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