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정부 '외교 다듬기' 스타트… 과제는 ①한미협력 ②한일관계 ③통상 재편

입력
2022.03.24 21:50
5면
24일 외교부 업무보고… 핵심 정책 점검
한미협력 '연착륙', 한일관계 '안갯속' 전망
경제안보 부상 속 '통상 기능 개편'도 관심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4일 외교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인수위) 업무보고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외교정책 다듬기’에 나섰다. 외교부는 5월 개최가 유력한 ‘한미정상회담’ 및 ‘한미 협력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여전히 물음표가 붙는 ‘한일관계 개선’과 경제안보의 부상으로 외교부가 중점을 두고 있는 ‘통상 기능 재편’도 비중있게 다뤄졌다.

이날 보고에서는 “한미동맹을 재건하고 ‘포괄적 전략동맹’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한 윤 당선인의 공약에 맞춰 한미 협력의 내실을 다지는 방안에 논의가 집중됐다. 외교부는 특히 미국이 최근 구체화한 ‘인도ㆍ태평양전략’에서 우리 정부가 협력을 모색할 수 있는 분야를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쿼드(Quadㆍ미국 일본 호주 인도의 4개국 협의체)’ 산하 워킹그룹, 신기술, 글로벌 공급망, 사이버 등이 대표적 협력 대상으로 거론된다. 한미 외교ㆍ국방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의 실질적 가동 등 대북공조 역시 주요 관심사로 보고됐다.

외교부는 윤 당선인이 문재인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공언했지만, 한미 협력만큼은 정권이 바뀌어도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당장 미국부터 한미일 협력에 적극적인 데다, 현 정부의 기조 역시 큰 틀에선 ‘협력 확대’에 방점이 찍혀 있기 때문이다. 우선 미국이 의견 수렴에 들어간 인도ㆍ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가 윤석열 정부의 첫 협력 성과가 될 확률이 높다. 외교부 당국자는 “미국이 제안한 내용 상당수가 우리 생각과 일치해 매우 긴밀하게 소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일관계는 새 정부 출범 후에도 최대 외교 난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그간 시도한 여러 관계 개선 노력과 국내외 돌발 변수들을 두루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도 한일관계 개선 의지만 밝혔을 뿐, 구체적 해법은 내놓지 않았다. 외교소식통은 “한일관계는 앞으로 정책을 어떻게 구체화하느냐가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중관계의 경우 올해 수교 30주년을 맞아 경제, 문화교류, 기후변화 등 비정치 분야에서 추진 가능한 다양한 실무협력 방안이 보고서에 담겼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탓에 원활하지 못했던 고위급 교류 확대 방안도 논의됐다.

또 ‘통상 기능 이관’은 외교부가 특별히 힘을 쏟고 있는 분야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가 대외 통상교섭을 전담해 외교채널이 중복되고, 각종 국제이슈에 신속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게 외교부 입장이다. 윤 당선인이 경제안보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만큼 외교부는 ‘IPEF,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적극 활용’ 등의 공약 이행 방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외교통상 기능 복원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준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