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흔한 여성암' 유방암, 조기 발견하면 생존율 99% 달해

입력
2022.03.04 21:38

유방암은 전체 여성 암 환자 5명 중 1명에게 발생할 정도로 흔한 암이다. 게다가 해마다 환자 수가 늘고 있어 ‘여성암 1위’를 차지하는 암이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치료법이 잘 발달돼 있고, 조기 발견할 때가 많아 다른 암보다 생존율이 높다. 수술 후 5년 전체 생존율은 90%가 넘고, 상피내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99%에 가깝다.

다만 4기 암 환자의 경우 표준 치료를 받더라도 5년 생존율이 30% 밖에 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기 발견을 위한 정기검진이 중요한 암이다. 선우영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유방외과 교수의 도움말로 유방암을 알아본다.

◇건강검진으로 증상 없는 초기에 많이 발견

유방은 유즙을 만드는 유엽과 유즙이 나오는 길인 유관으로 이뤄지는 유선 조직, 유방 형태를 유지하는 결체 조직, 그리고 쿠션 역할을 하는 지방으로 이뤄진다.

대부분의 암은 유선 조직에서 생기며 이 중 80%가 유관에서 생기므로 일반적으로 유방암이라고 하면 유관암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암이 주변으로 퍼진 정도에 따라서 상피내암과 침윤성암으로 나눌 수 있다.

상피내암은 유관의 상피세포 안에서만 자라므로 다른 부위로 퍼지지 않는 0기암이고, 항암 치료를 시행하지 않는다. 침윤성암은 이 상피세포를 둘러싼 기저막을 뚫고 나온 암으로, 기저막 밖 혈관이나 림프관을 침범해 다른 부위, 다른 장기로 퍼질 수 있다.

유방암이 가장 많이 발생한 연령군은 40대이며 50대, 60대, 30대, 70대의 순으로 발생 빈도를 보인다. 환자의 3분의 1 정도는 아무런 증상 없이 검진 시 발견될 정도로 초기 단계에는 대체로 증상이 없다.

흔한 증상으로는 멍울, 유두 분비, 피부 변화 등이 있다. 멍울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생리 주기에 따라서도 크기가 변하지 않는 대개 통증 없는 멍울이다. 하지만 대부분 이상이 없는 단단한 부위를 멍울이라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유두에서 비정상적인 분비물, 즉 피가 나오기도 한다. 암을 의심할만한 유두 분비는 주로 한쪽에서 나오고, 한쪽 유두에서도 여러 개의 유관보다는 특정한 하나의 유관에서 초콜릿색 또는 피가 나온다.

피가 나온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니지만 반드시 진료를 요하는 증상이다. 피부 변화도 일어나는데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오렌지 껍질처럼 두꺼워지거나 다치지 않아도 멍이 드는 증상이 있다. 유두나 피부가 함몰되는 증상도 유방암과 관련이 있다.

기타 증상으로 겨드랑이에서 혹이 만져질 수 있는데, 이는 전이로 인해 림프절이 커진 경우다. 유방암 환자가 유방통을 주증상으로 호소하는 경우는 5% 이하로 드물지만 유방통이 지속되면 반드시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40세 이후 유방촬영술 받아야

유방암 원인으로는 호르몬, 식이, 비만, 유전, 방사선 치료 과거력,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현재까지 가장 연관이 있다고 여겨지는 것이 호르몬 요인이다.

평생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 노출 시간이 많을수록 위험도가 높아진다. 초등학교 5학년 이전에 생리를 하는 이른 초경, 55세 이후 폐경이 되는 늦은 폐경의 경우 그만큼 노출 기간이 길어 위험 인자가 된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더 이상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이 나오지 않지만 복부 지방에서 안드로스테네디온이라고 하는 성분이 여성호르몬으로 만들어지므로 위험 인자가 된다.

유전적 요인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유전으로 암이 생기는 경우는 전체 암의 5~1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 직계 가족 중 유방암 환자가 있거나, 젊었을 때 발병하거나, 엄마보다 자매가 유방암일 경우 유방암 발병 위험이 더 높아진다.

한국유방암학회에서는 40세 이후부터 1~2년 간격으로 임상 진찰과 유방촬영술을 권고하고 여기서 이상이 보이는 경우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조직검사법으로는 세침 흡인 세포 검사나 핵침 생검이 있다. 현미경 소견에서 암세포가 관찰될 때 유방암으로 최종 판정한다.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은 유방암으로 진단된 후 수술 계획 시 병변 범위를 더 정확히 측정하고, 다발성 병변이나 양측성 유방암의 존재 여부를 알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방암 치료는 크게 수술, 항암 치료, 항호르몬 치료, 방사선 치료, 표적 치료로 나뉜다. 최근에는 면역 치료도 추가돼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치료법은 환자 특성, 암 특성을 고려해 환자마다 치료법, 순서, 기간을 달리해 맞춤형으로 치료한다.

수술은 유방 수술과 겨드랑이 림프절 수술로 나뉘고, 유방 수술은 크게 유방 부분 절제수술(유방 보존수술)과 유방 전(全)절제 수술로 나눈다. 유방 보존 수술은 조기 유방암 발견이 늘어나면서 전체 유방암 환자의 60~70%에서 시행된다.

유방보존술이 점점 늘고 있지만 3분의 1 정도는 유방 전절제술을 시행한다. 2015년부터 유방 복원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최근 증가하고 있다.

유방재건술은 유방을 절제한 환자에서 유방 보형물이나 자신의 조직을 이용해 원래 유방과 유사하게 만들어 주는 방법으로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주로 초기 유방암 환자에서 시행하고, 수술 시기에 따라 유방 절제와 동시에 이뤄지는 즉시형 재건과 유방암 수술 후 2~3년 후 시행하는 지연형 재건이 있다. 최근 들어 수술법 및 기술이 발달하면서 암 제거 수술과 동시에 이뤄지는 경우가 늘고 있다.

선우영 교수는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의 3분 1 정도만 유방암 위험 인자를 갖고 있기에 현재까지 알려진 위험 인자를 교정하더라도 예방하기가 어렵다”며 “정기검진을 통해 되도록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선 교수는 “암이 작을 때 발견하면 항암 치료를 받지 않을 확률도 높아지고, 미용적으로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