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톱 밑 가시처럼, 염통 밑 쉬처럼

입력
2022.01.25 20:00
25면

한국일보의 귀한 지면을 통해 '몸과 삶'에 관한 생각을 나눌 기회를 받은 지 어느새 두 해가 넘어가면서 오늘 글을 마지막으로 칼럼을 마감하게 되었다. 어떤 이야기로 마무리를 짓는 것이 좋을까 하다가 가장 민감한 부분과 가장 중요한 부분에 관한 이야기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가장 민감한 부분은 감각수용체가 빽빽하게 밀집된 손끝이나 입술이고, 가장 중요하다고 하면 아무래도 생명과 직결된 뇌나 심장, 허파가 떠오른다. 우리 속담 중에 중요한 부위와 민감한 곳을 다 언급한 것이 있다. 흔히 사용하지는 않지만 "손톱 밑에 가시 드는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스는 줄은 모른다"라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은 가시라도 손가락 끝이나 손톱 밑에 박히게 되면 마치 중병이라도 걸린 듯 호들갑을 떨게 마련이다. 이유는 몸의 다른 곳보다 손끝이나 손톱 밑에 감각신경이 더 많이 있어서 다른 곳보다 더 쉽게 통증을 느끼기 때문이다. 그런데 박힌 가시를 빼내면 그 통증은 쉽게 가라앉는다. 그러니까 우리가 보이는 반응에 비해 그리 큰 문제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염통에 쉬스는 일이 생기면 어떻게 될까? 일단 염통이 심장이라는 것은 알겠는데 '쉬슨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네이버 국어사전에 의하면 '쉬슬다'는 '(파리가) 여기저기에 알을 낳다'라는 의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니까 심장에 파리가 알을 낳는다는 뜻이다. 일단 심장에 파리가 알을 깔 수나 있을까? 당연히 파리가 가슴 속 깊이 있는 심장 근처에 다가갈 수도 없을 테니까 심장에 알을 낳는다는 것은 말도 안 될 정도로 드문 일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심장 속에 파리알처럼 보일 수 있는 것을 추정해 보면, 심장속막에 염증이 생겨 세균이나 피떡(혈전) 덩어리가 들러붙어 있는 모양과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여기에 생각이 미치자, 우리 옛 선조들은 해부나 부검을 하지도 않았을 텐데 어떻게 심장 속에 있는 것을 파리알 같다고 생각했을까 그저 감탄하게 된다. 여하튼, 이런 덩어리가 떨어져 피를 따라 돌아다니다가 작은 혈관을 막으면 피가 흘러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면 뇌졸중이나 중풍이 생기고,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라면 심근경색으로 급사할 수도 있다. 그러니 심장에 쉬스는 일이 생기면 여간 심각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많은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기 전에 심장에 혹시라도 문제가 있는지 일부러 신경을 쓰고 대비하는 일은 많지 않다.

우리의 삶에서도 어떤 일을 대할 때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많다. 중요한 일보다는 눈에 잘 띄는 사소한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늘 강조하지만, 흔하지 않게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이는 아무래도 안전에 이상이 생기는 작은 조짐을 눈치채지도 못하거나, 설령 낌새를 채더라도 지금 당장 문제가 생기지 않을 것 같으면 괜찮으려니 하고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다 아파트 붕괴와 같은 사고가 나면 지금 당장 눈에 보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정말 중요한 본질인 안전문제는 반짝하고 관심을 끌다가 어느 사이엔가 우리 관심사에서 흐지부지 사라져 버리고 만다.

어느새 대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대통령이 되면 우리 민족과 나라를 위해 어떤 철학으로 무슨 일을 하고 싶은지,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지, 예측되는 어려움은 무엇이고 또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 등과 같은 중요한 것은 일부러 찾아보기 전에는 쉽게 접할 수 없다. 그보다는 후보자와 가족에 대한 말초를 자극할 만한 이야기와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 관한 이야기가 더 많다. 이는 아마도 우리 유권자들이 백년대계를 내다보는 지혜와 경륜으로 염통에 쉬슬지 않도록 하는 후보자들의 정책보다 지금 당장 우리를 아프게 하는 손톱 밑 가시의 처리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의 삶 속에서 접하는 많은 일을 판단하고 행동할 때, 지금 당장 우리를 힘들게 하는 발등에 떨어진 불에 둔감해지고, 긴 안목으로 우리가 지켜가야 할 가치와 미래를 결정 지을 정말 중요한 본질에 대하여 민감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엄창섭 고려대 의과대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