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 여파에 2년째 '비상경영' 중인 항공업계가 또다시 보릿고개 노선으로 들어설 조짐이다. 그동안 코로나19 사태 속에 서도 마지막 버팀목 역할을 해왔던 정부의 고용유지지원금 중단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다. 유급 순환휴직과 함께 가까스로 버텨온 항공업계에선 고용유지지원금 중단은 무급휴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정부의 눈치만 살피고 있다.
16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다음 달로 고용유지지원금 만료가 예정된 일부 항공사에선 이달 말까지 구성원들의 동의하에 무급휴직을 검토하고 있다. 고용유지지원금이 끊길 경우, 3월부턴 자체적인 항공사 내 자구책만으로 비상경영을 이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무급휴직 규모는 항공사별 직원의 50%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무급휴직 검토에 들어간 항공사는 이달 중 직원들의 무급휴직 동의서를 받아 고용노동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고용유지지원금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휴업·휴직 수당에 대해 정부가 지원하는 보조금으로, 경영 상황이 어렵더라도 인원 감축 대신 고용 유지를 장려하기 위해 마련됐다. 노동부에선 사업주가 통상 1개월 이상의 유급휴직을 주는 경우 평균 임금의 70%인 휴업 수당을 90%까지 지원하고 나머지 10%는 기업에서 부담하도록 한다. 정부는 당초 1년에 최대 6개월까지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19 확산세 지속으로 어려움에 처한 항공업계의 지원 연장을 이어왔다.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2020년 3월부터 하늘길이 막힌 뒤 순환근무에 들어간 항공사들은 작년 6월과 10월 고용부가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종료를 앞두고 지원 기간 연장으로 구조조정은 피해갔다.
한국경제연구원에선 지난해 6월 고용유지지원금 종료를 앞두고 "코로나19 직격탄으로 대규모 적자에 들어간 업종들이 고용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 고용유지지원금의 역할이 컸다"며 지원 연장의 필요성을 지적한 바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0년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에어부산 등을 비롯한 국내 항공업계 6개사의 매출은 전년 대비 44.2% 감소했지만 고용은 3.1% 감소하는 데 그쳤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항공업계는 정부의 지원만 바라보고 있다. 대형 항공사들은 "그동안 몇 차례 연장을 해줬기에 정부에서 지원을 지속해주기만을 기대하고 있다"며 말을 아끼면서도 화물 사업 확대로 흑자를 낸 데 대해선 "인건비를 대폭 절감했기에 가능했다"고 전했다. 여객 운항 급감으로 타격을 받은 저가항공사(LCC)업계는 일찌감치 무급휴직 준비에 착수했다. LCC업계 관계자는 "LCC가 보릿고개를 넘기지 못하고 인력 조정 수순을 밟게 되면 점차 비행 편수가 줄고 고객 비용부담도 올라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