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 확대 등으로 폐배터리 처리가 난제로 부상한 가운데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가 경북 포항에 준공했다. 폐배터리 재활용 기준을 마련하고 재사용·재활용기술 개발 등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의 컨트롤타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13일 남구 동해면 공당리 포항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폐배터리의 재활용과 재사용 산업을 지원하는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를 준공했다.
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가 배터리 재활용에 관한 법령 부재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기업들을 위해 지난 2019년 7월, 포항을 차세대 배터리 재생사업(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하면서 추진됐다. 8,049㎡ 부지에 지난 2월에 착공, 도비 27억원, 시비 80억원 등 총 107억 원을 들여 연면적 3,549㎡, 지상 3층 규모로 이날 준공해다.
센터는 수거한 폐배터리를 보관할 배터리 보관동(면적 1,213㎡)과 연구동(면적 885㎡), 사무동(면적 1,450㎡) 등 3개동으로 구성됐다.
사용 후 배터리는 폐기물인 동시에 소중한 자원이다. 방치하면 심각한 환경오염과 함께 화재나 폭발 우려가 있다. 하지만 태양광발전소의 에너지저장장치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고, 배터리 소재인 희귀금속 등을 추출해 재활용도 가능하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재사용·재활용에 따른 법령이나 규정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포항은 2019년 7월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로 지정됐다. GS건설을 시작으로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등이 음극재 양극재 분리막 전해질 등 배터리 4대 핵심소재에 대해 대대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또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이 중요해짐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과 기준 마련 등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자원순환협회에 따르면 사용 후 배터리는 오는 2024년에는 1만개, 2031년에는 연간 10만개 이상 배출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차전지 센터는 앞으로 대구와 경북지역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를 수거해 환경 및 안전 기준을 제시하고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산업의 표준을 마련한다. 특히 보관동은 국내 최대 규모로 약 1,000개의 전기차 배터리를 보관할 수 있어 폐배터리 거점수거센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 관련 벤처 창업 기업과 중소기업에 저렴한 비용으로 사무공간을 임대해 신제품 개발을 유도하고, 다양한 배터리 사용환경을 반영한 개방형 실험공간도 제공한다.
이번 이차전지 센터 준공으로 포항은 국내 최초로 사용 후 배터리 수거부터 보관, 성능 평가 및 등급 분류, 재활용과 재사용까지 관련 산업의 전 주기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강성천 중소벤처기업부 차관은 이날 준공식에 참석해 “경북 포항의 배터리 특구가 규제자유특구 제도의 교범이 됐다”며 “지방이 적극적으로 주도하고 중앙에서 아낌없이 지원해 만들어낸 큰 성과”라고 말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이차전치 센터를 환경부의 전기차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사업, 녹색융합클러스터 지정과 연계해 국가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산업의 거점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강덕 시장은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준공으로 사용 후 배터리산업 발전의 가속화가 예상된다”며 “정부지원 연계로 이차전지 소재 기업 집적화를 이끌어 내 포항을 배터리산업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