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쉬고 싶다" 30대 노래방 사장도 극단 선택… 스러져가는 자영업자들

입력
2021.09.14 04:30
1면
평택시 노래방 업주, 7월 차량서 숨진 채 발견 
지인들 "임대료·인건비 마련하려 밤낮없이 일해"
코로나 장기화로 한계 상황… "안 알려진 죽음 많아"

"이젠 좀 쉬고 싶다."

지난 6월 18일 경기 평택시 비전동에서 노래방을 운영하던 박모(37)씨가 주변과의 마지막 통화에서 남긴 말이다. 지인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이후 열고 닫길 반복하는 가게를 유지하려는 박씨의 분투를 알고 있었지만, 굳건하던 삶의 의지가 서서히 무너지고 있다는 사실은 미처 알아채지 못했다. 박씨는 그날 이후 실종됐고 보름 뒤인 7월 2일 오후 자신의 가게 인근 자가용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유서는 없었다.

자영업자들이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높은 임대료, 과당경쟁으로 휘청이던 이들에게 코로나19 대유행 장기화라는 치명타가 날아든 탓이다. 서울 마포구 맥줏집과 전남 여수시 치킨집에 이어 본보가 확인한 평택 노래방까지, 경영난과 생활고에 치여 세상을 등지는 '사장님'들의 명단도 길어지고 있다. 업계에선 언론이 모르는 죽음도 적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쌓이는 임대료 탓 밤낮없이 일해

13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박씨에게 '마지막 기별'을 받은 이들 대부분은 그가 말 그대로 일을 잠시 쉬려는 걸로 여겼다고 한다. 노래방 운영이 어려워진 뒤로 박씨가 낮에는 보안업체 폐쇄회로(CC)TV 설치, 배달 대행, 막노동으로, 밤에는 대리운전으로 잠잘 시간마저 쪼개 일했기 때문이다. 한 지인은 "피곤이 많이 쌓였을 테니 며칠 여행이라도 다니면서 몸과 마음을 추스리려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박씨의 과로는 어떻게든 가게를 지키려는 몸부림이었다. 매출이 있든 없든 노래방 임대료는 매달 800만 원씩 꼬박꼬박 쌓였고, 직원 급여와 각종 요금도 치러야 했다. 대출금 수천만 원은 또 다른 짐이었다. 인근 자영업자 A씨는 "박씨가 임대료와 인건비를 마련하기 위해 밤낮없이 일했다"며 고인을 추억했다. 그는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자영업자에게 너무 가혹했다"면서 "누구보다 열심히 정직하게 살던 분인데, 이 모든 상황이 너무 원망스럽고 슬프다"고 말했다.

박씨의 매장은 정부의 거리두기 지침에 따라 영업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그의 매장에서 운영하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은 지난해 5월 전국 유흥시설에 한 달간 운영 자제를 권고하는 정부의 행정명령 시행문을 게시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로 끝나는 줄 알았던 코로나가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으로 한 달간 연장됐다"고 알렸다. 그러면서도 "(운영 중단 기간에도)청결 유지 및 소독을 주기적으로 하고 있다"고 적었다. 그해 10월에는 "집합금지 명령이 다시 연장됐다"면서 "여러분들을 꼭 만났으면 좋겠다. 코로나 때문에 힘드시겠지만 추석 잘 보내시라"는 글을 올렸다. 올해 2월 마지막 게시글은 "15일부터 다시 영업합니다. 저녁 10시까지 영업합니다"였다.

동업자 "극단 선택 심정 충분히 이해"

박씨와 함께 매장을 운영하던 신모(45)씨는 동업자의 죽음에 황망해하면서도 "그 심정이 백번 이해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5월만 해도 '한 달만 지나면 영업 제한이 풀리겠지' 싶었지만 상황은 지속됐습니다. 너무 힘들어서 국무총리실, 시청, 지역구 국회의원 사무실을 찾아다니며 영업 제한 완화 등을 호소했지만 돌아오는 건 '법적으로 어떻게 해줄 수 있는 게 없다'는 말뿐이었어요."

신씨는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하루 두 번씩 매장을 소독하고 QR코드가 없다는 손님에겐 욕먹는 걸 감수하면서 일일이 본인 휴대폰이 맞는지 전화하면서 국가에서 하라는 건 다 지켰는데 자영업자에게만 책임을 미뤘다"는 것이다. 그는 노래방이 유흥업소로 분류돼 고통이 더 컸다면서 "정부가 보상을 똑바로 해주고 임대료라도 어떻게 정리해줬으면 이런 일은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씨의 처지도 생전 박씨와 다르지 않다. 유통업체 물류센터에서 하루 여덟 시간 아르바이트를 하고 틈날 때마다 보안업체 아르바이트를 한다. 아내도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생활비 마련 외에도 임대료 7,000만 원, 국민연금 등 4대 보험 미납액 800만 원, 식자재비 600만 원 등 당장 갚아야 할 빚이 잔뜩 밀렸다. 최근엔 국민연금공단에서 체불된 보험료를 해결하지 않으면 매장을 압류하겠다는 독촉장이 날아왔다.

"알려지지 않은 자영업자 죽음 많을 것"

앞서 20년 넘게 마포구에서 맥줏집을 운영하던 50대 자영업자가 이달 7일 자택에서 극단적 선택을 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한때 식당과 주점 4곳을 운영하면서 호황을 누렸던 그는 코로나19 유행, 인근 대형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등 악재가 겹치면서 월세 1,000만 원과 직원 급여 등 고정비용 마련에 어려움을 겪었다. 숨지기 전엔 직원에게 월급을 주려고 살고 있던 원룸을 뺀 안타까운 사연도 전해졌다. 이날 카드사와 대부업체 청구서가 새로 도착한 해당 가게 출입문엔 '천국 가셔서 돈 걱정 없이 사세요' '편히 쉬세요' 등 문구가 적힌 포스트잇이 붙었다.

전날 여수에선 치킨집 점주가 '경제적으로 힘들다. 부모님께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세상을 등졌다. 그의 가게는 시청 인근 맛집으로 알려진 곳이었지만, 코로나 직격탄을 피하지 못했다.

업계에선 "언론에 보도만 안 됐을 뿐 죽음을 택한 자영업자들이 적지 않을 것"이라는 반응이다. 반복되는 코로나 대유행과 그로 인한 영업 제한 장기화로 자영업계가 한계상황에 봉착했다는 것이다. 자영업자 B씨는 "올해 초 대구 동구 율하동에서도 극단적 선택을 한 사장님이 있다"라고 전했다. B씨에 따르면 고인은 업종 변경까지 감행했지만 결국 경영난을 이기지 못하고 매장에서 혼자 생을 마감했다.

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정부의 주먹구구식 방역 정책으로 자영업자들은 매출이 급락했고 영업제한 조치가 강화된 지난해 말부터는 버틸 힘조차 뺏겼다"면서 "안타까운 죽음은 우리 모두의 상황과 똑같다"며 방역지침 전환을 촉구했다.

원다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