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지락 한가득, 풍경 한 아름... 노을빛 풍성한 생명의 땅

입력
2021.08.25 04:30
20면
<123> 고창 심원면 세계자연유산 고창갯벌

서천갯벌, 고창갯벌, 신안갯벌, 보성순천갯벌 4곳이 ‘한국의 갯벌(Getbol, Korean Tidal Flats)’이라는 타이틀로 7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렸다. 세계자연유산으로는 2007년 등재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에 이어 국내 두 번째다.

잃고 나서야 귀한 줄 안다. 이들 지역 외에 인천 영종도와 전북 새만금은 진작부터 세계적인 갯벌로 명성이 높았던 곳이다. 인천공항 건설로 영종도 갯벌이 상당 부분 훼손된 데 이어 대형 방조제 건설로 새만금 갯벌은 완전히 사라질 처지에 놓였다. 질펀했던 갯벌은 이미 잡풀이 무성한 공사장으로 변했다. 군산공항 앞 수라갯벌이 겨우 명맥을 잇고 있지만, 신공항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사실상 소멸이 머지않았다. 그만큼 남은 갯벌의 중요성이 더 커졌다. 광활한 생명의 보고 고창갯벌을 둘러봤다.


‘풍천장어’의 유래, 좌치나루터

고창갯벌은 고창 심원면과 부안 변산반도 사이 곰소만 바다를 아우른다. 서해에서 줄포항까지 바닷길이 어림잡아 20㎞이고, 심원면과 변산반도 사이는 직선 거리 최대 6㎞에 이르는 광활한 지역이다.




고창갯벌 여행은 선운사에서 가까운 심원면 좌치나루에서 시작한다. 꿩이 앉은 형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내륙 주민들이 해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사러 다니거나, 심원면 바닷가 사람들이 부안면 난산장(알뫼장)을 오가는 데 이용한 나루다. 나루 양쪽에 있던 주막은 흔적 없이 사라지고 지금은 길모퉁이에 이동식 카페가 차를 대고 있을 뿐이다.

도로에서 목재 계단을 내려가면 탐방로로 이어진다. 텅 빈 나루터를 가로질러 갯고랑에 장어잡이 그물이 설치돼 있다. 서해안 기수역에서 유일하게 인공 수문이 없어 바닷물과 담수가 자유로이 드나드는 곳이다. 좌치나루는 이른바 ‘풍천장어’라는 명칭이 유래한 곳이다. 풍천(風川)은 지명이 아니라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하천이라는 의미다. 이곳뿐만 아니라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역에서 잡히는 장어를 통칭해 풍천장어다. 인근 선운사를 비롯해 인천강 주변에 ‘풍천장어’ 간판을 내건 음식점이 수두룩하다.

장어는 바다에서 태어나 민물 하천에서 살다가 산란기에 다시 바다로 돌아가는 독특한 어종이다. 민물에서 부화해 바다에서 살다가 산란기에 다시 태어난 강으로 회귀하는 연어와는 정반대의 삶이다. 이곳을 비롯해 국내 기수 지역에서 잡히는 장어의 고향은 필리핀 부근 심해로 알려져 있다. 오로지 본능적 감각에 의지해 약 3,000㎞ 떨어진 바다를 오가는 물고기이니, 영양가를 따지기 전부터 스태미나 음식으로 각광받아 왔다.

좌치나루의 실뱀장어를 잡는 그물을 친 말뚝 위에는 왜가리와 갈매기 등이 한자리씩 차지하고 먹이를 노리고 있다. 끈적끈적 차진 갯벌에는 구멍이 숭숭 뚫렸다. 인기척에 놀란 농게와 칠게, 짱뚱어 등이 잽싸게 몸을 숨긴다. 잠시 숨을 고르고 있으면 갯벌은 다시 온갖 생명으로 수런거린다.

광활한 생명의 바다, 고창갯벌

여행지로서 고창갯벌의 매력은 무엇보다 가슴 트이는 광활한 대지와 바다다. 해안 주변의 논과 밭, 새우 양식장 너머로 거칠 것 없이 드넓은 갯벌과 바다가 펼쳐진다. 곰소만 건너편으로는 내변산에서 외변산으로 이어지는 변산반도 능선이 그림처럼 이어지고, 뭉게구름이라도 피어오르면 시야는 하늘까지 무한대로 확장된다.

고창갯벌 탐방의 중심은 람사르고창갯벌센터다. 센터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만돌마을, 우측으로 하전마을까지 탐방로가 연결돼 있다. 양쪽 모두 걷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운 거리다. 센터에서 자전거를 대여(1시간 3,000원)하거나 하루 6회 운행하는 갯벌 탐방 전기버스(3,000원)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유네스코는 세계유산 등재 심사 과정에서 한국의 갯벌에 대해 ‘지구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서식지 중 하나이며, 특히 멸종 위기 철새의 기착지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된다’고 평가했다. 고창갯벌은 그중에서도 생물다양성이 가장 뛰어난 곳으로 평가된다. 흔히 연상되는 갯벌의 풍경은 끈적끈적한 펄이지만, 고창갯벌은 바위갯벌, 모래갯벌, 펄갯벌과 이들 요소가 섞인 혼성갯벌까지 다양하다. 외해에서 내륙으로 들어가며 모래, 혼성, 펄 갯벌이 연속으로 이어진다. 곰소만에서 유일하게 사람이 살고 있는 내죽도를 비롯해 8개의 섬과 암초가 갯벌 위로 드러나 있고, 아래에는 더 많은 암초가 묻혀 있는 지형이다.

덕분에 탐방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갯벌의 다양한 풍경을 볼 수 있다. 우선 센터 앞 갯벌은 대표적 염생식물인 해홍나물과 칠면초가 가득 덮고 있다. 회색빛 갯벌과 진분홍으로 변한 칠면초가 환상의 조화를 이룬다. 그 사이에 실핏줄처럼 갯골이 퍼져 있다. 고인 바닷물에 파란 하늘이 담기면 흑·청·홍의 이색적인 풍광이 연출된다.




단단한 모래갯벌에는 갈매기 떼가 한가로이 휴식을 취하고, 억새와 갈대로 덮인 연안습지에는 저어새와 청둥오리가 헤엄친다. 고창갯벌에는 노랑부리저어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등 90종 약 4만1,000마리의 물새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넙적부리도요와 황새를 비롯한 19종은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 중에서도 위급한 적색 목록에 올라 있다.

갯벌은 규조류가 풍부해 이를 먹이로 삼는 어패류가 풍성하다. 특히 고창갯벌은 바지락 천국이다. 주민들은 전국 바지락의 절반 가까이가 이곳에서 생산된다고 말한다. 갯벌 주변 식당마다 바지락 요리가 빠지지 않는다. 동죽 백합 고동 등 조개류, 조기 농어 주꾸미 등도 고창갯벌에서 많이 잡히는 어종이다. 탐방로를 산책하다 보면 달랑게 세스랑게 부채게 엽낭게 등 갯벌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온갖 생명체를 만날 수 있다.





한편으로 심원면 주변 해안은 예부터 이름난 소금 생산지였다. 시작은 천일염이 아니라 바닷물을 가열해서 만드는 자염(煮鹽)이었다. 월산리 검당마을에 소금박물관과 소금창고(현재 코로나19로 입장 불가)가 있다. 마을에서 소금을 만들게 된 내력은 선운사 전설과 관련이 있다. 검단선사가 선운사를 창건할 즈음 인근 계곡에 도적들이 많았다. 힘으로 물리치기 힘들다고 판단한 선사는 이들에게 제염법을 가르쳐 살아갈 수 있게 했다. 바닷가에 진흙으로 웅덩이를 만들고, 바닷물을 부어 가열해 소금을 생산하는 방식이었다.

마을에 정착한 도적들은 새 삶을 열어준 검단선사의 이름을 따서 검당마을이라 하고, 매년 봄가을 두 차례씩 선운사에 ‘보은염’을 두 가마씩 바쳤다고 한다. 이야기대로라면 검당마을은 1,500년의 역사를 가진 소금마을이다. 30여 년 전만해도 300여 가구가 소금을 생산했지만 지금은 면 전체를 통틀어 삼양염전 한 곳만 남아 있다.

가슴까지 물드는 풍성한 낙조, 만돌갯벌

고창갯벌 어디서나 일몰이 아름답지만, 그중에서도 최고를 꼽는다면 단연 만돌(萬突)마을이다. 옛날 어느 스님이 굴뚝이 1만 개나 들어설 정도로 번창하게 될 것이라고 예언한 데서 유래한 지명이다. 만돌마을은 실제 심원면에서 주민이 가장 많은 자연 부락이다. 마을의 풍성함은 역시 끝없이 펼쳐진 갯벌에 있다.



마을 한 귀퉁이에 자그마한 동산이 하나 있다. 주변 땅과 바다가 평평하니 해발 28.9m에 불과한 야산에 계명산이라는 그럴싸한 이름이 붙었다. 마을에서 닭이 울면 중국에서도 들린다는 과장 섞인 ‘닭울음산’이다. 높이에 비해 시야가 넓어 더없이 훌륭한 전망대다.

산모퉁이에 ‘서해안바람공원’이 조성돼 있다. 이름처럼 선선한 바닷바람이 불어오는 곳이다. 해송 산책로를 따라 조금 걸으면 갯벌 전망대가 있다. 육지도 아니고 바다도 아닌 단단한 모래갯벌이 끝없이 펼쳐진다. 그 넓은 갯벌에 조개잡이에 나선 경운기와 트랙터가 장난감처럼 질주한다. 바다로 나갈수록 모래갯벌에 얇은 펄이 덮였다. 물살이 빚은 빗살무늬 문양에 눈이 어지러울 지경이다.

갯벌 왼편 대죽도 인근으로 해가 떨어지면, 촉촉하게 물기를 머금은 갯벌에도 풍성한 노을이 번진다. 광활한 생명의 공간에 펼쳐지는 풍성한 일몰이다. 해가 지고 어스름이 내리는 갯벌에 트랙터가 일직선의 바큇자국을 남기며 이동한다. 바지락 가득 담은 망태도 싣고, 땡볕에서 몇 시간씩 호미질한 사람도 태운다. 텅 빈 갯벌에 노을이 한가득이다.



만돌마을에서 멀지 않은 동호해수욕장 역시 일몰이 좋은 곳으로 꼽힌다. 명칭만 해수욕장이지 모래갯벌이나 마찬가지다. 간조 때 바닷물에 발이라도 담그려면 한참을 걸어나가야 한다. 땅속 고운 모래를 몽글몽글하게 뭉쳐서 해변 가득 뿌려놓은 이름 모를 생명체, 그것을 노리는 바닷새, 그리고 파도가 그린 물결무늬 모래톱이 마중 나오는 끝없는 바닷길이다.

동호해수욕장에서 아래쪽 구시포해수욕장 사이는 서해에서 보기 드문 8.5㎞ 일직선 해안으로 명사십리해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돼 야영이나 취사를 할 수 없다. 해안도로 몇몇 지점에서 바다로 길이 트여있어 한적한 해변을 걸어볼 수 있다.




명사십리 아래 구시포항은 해변에서 약 1㎞ 떨어진 바다 위에 자리 잡았다. 조수간만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조다. 육지에서 항구까지는 방파제를 겸한 일직선 도로로 연결돼 있다. 공중에서 보면 와인잔을 연상시키는 독특한 모양이다. 방파제 옆으로 아담하게 구시포해수욕장이 펼쳐진다.

고창=글?사진 최흥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