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발표된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위원회의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의 골자는 현재 산업, 수송, 건물 등 각 부문에 사용 중인 화석연료를 '온실가스 배출이 적은' 전기로 대체하자는 것이다.
관건은 전력이다. 위원회는 이번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경우, 2050년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가 2018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 수송, 건물 등 부문별로 전력화가 진행돼 2050년 전력수요(1,165.4~1,215.3테라와트시·TWh)가 2018년 대비 204.2~212.9% 급증할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위원회는 2019년 기준 전체 발전원에서 6.5% 정도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2050년 56.6~70.8%까지 늘릴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두고 당장 현실성 논란이 제기된다. 탈(脫)원전 정책을 표방해 온 정부가 원전 확충 없이 3배나 더 필요한 전력의 대부분을 신재생에너지로 마련할 수 있겠냐는 것이다. 막대한 설비투자 비용과 전기요금 인상 부담을 넘어서기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
실제 위원회는 이날 시나리오에서 현재(2019년 기준) 전체 발전의 25.9%를 차지하는 원전 비중을 2050년 6.1~7.2%까지 떨어뜨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2050년에는 신고리 원전 2~6기와 신월성 1·2호기, 신한울 1·2호기 등 원전 9기만 남기겠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경우,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이종호 전 한국수력원자력 기술본부장의 분석에 따르면, 2050년 원전 발전비중을 13%로 낮추고 이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할 경우, 발전설비 투자에만 약 1,400조 원이 필요할 전망이다. 낮에 생산된 태양광 전력을 저장할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이 필요해서다. 이 전 본부장은 “연간 발전비용도 2019년 51조 원에서 2050년 166조 원으로 크게 늘어나 전기요금이 지금보다 최소 3배 이상 오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시나리오의 전력 예측치를 두고도 정확성 논란이 인다. 시나리오는 2050년 전체 전력공급 발전량을 1,207.7~1,259.4TWh로 전망하면서 최소 710TWh(56.6%), 최대 891.5TWh(70.8%)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를 위한 발전설비 규모만 510기가와트(GW) 이상으로 추산되지만 한국에너지공단이 발표한 ‘2020 에너지백서’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 풍력발전 최대 공급량은 434GW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