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영향으로 계층 간 소득 불평등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이 주로 종사해온 대면·서비스 업종에서 관련 일자리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특히 저소득층 중에서도 임시·일용직, 자녀를 둔 여성 가구주의 소득이 크게 감소했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코로나19가 가구소득 불평등에 미친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4분기 가구소득 5분위(상위 20%) 소득이 1.5% 줄어드는 동안, 1분위(하위 20%) 소득은 17.1%나 줄었다. 1분위 소득 감소율은 △2분위 5.6% △3분위 3.3% △ 4분위 2.7%의 소득 감소율도 크게 웃돌았다.
이에 지난해 소득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4분기(0.386~0.399) 내내 2019년(0.378~0.386)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소득격차가 더 벌어진 것은 코로나19 사태로 대면·서비스 업종에 주로 종사하는 저소득 가구의 일자리 감소 현상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특히 임시·일용직과 여성·유자녀 가구의 피해가 컸다.
지난해 30~54세 유자녀 여성가구 비취업 비중은 17.4%를 기록했는데, 이는 1년 전(11.9%)에 비해 5.5%포인트 높아진 수치이며 남성(2.0%)에 비해서는 약 9배 높은 비율이었다. 지난해 2~4분기에 소득 1분위 중 비취업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53.9%에서 62.6%로 8.7%포인트나 올랐다.
송상윤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우리 사회에서 남성보다 여성의 육아부담이 큰데, 여성 종사자 비율이 높은 대면 일자리는 재택근무도 쉽지 않아 부담이 더욱 가중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재난지원금 등 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금은 저소득 가구 소득을 늘리는 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2~4분기 중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을 모두 포함한 경상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했는데, 여기서 정부 지원금과 실업급여 등을 제외하면 같은 수치는 -1.3%로 크게 떨어졌다. 특히 하위 20% 가구의 경우 사회수혜금 덕분에 -8%였던 경상소득 증가율이 3.4%까지 치솟았다. 송 팀장은 "코로나 관련 정부 지원금이 계층 간 소득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