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022년 중국 베이징동계올림픽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을 다시 제기했다. 신장 위구르 인권 문제 등 고조되는 미중 갈등이 이유인데, 미국뿐만 아니라 동맹국들과 올림픽 불참 보조를 맞출 수도 있다는 의사도 내비쳤다.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미국이 동맹과 베이징올림픽 공동 보이콧을 협의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우리가 분명히 논의하고 싶은 것”이라고 발언했다. 프라이스 대변인은 “조율된 접근이 우리의 이익에 해당할 뿐 아니라 동맹 및 파트너의 이익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우리는 이해한다”며 “(보이콧은) 지금과 향후 모두 의제에 올라 있는 이슈 중 하나”라고 답했다. 다만 상황 변화 가능성을 염두한 듯 “2022년 일이고 아직 2021년 4월이라 시간이 남아 있다. 시간표를 제시하고 싶지 않다”고 프라이스 대변인은 덧붙였다.
미국 당국이 베이징올림픽 불참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지난 2월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베이징올림픽 참가와 관련해 최종 결정이 내려진 게 아니라는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관련 논의가 없었다는 그간의 입장에서 한 발 앞으로 나아간 발언이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동맹국들의 베이징올림픽 보이콧에 대해 가능성이 없는 일이라고는 보지 않는 입장이다. 미국 경제 전문 매체 CNBC방송은 정치 컨설팅업체 유라시아그룹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이 캐나다, 영국, 호주 등과 함께 정부대표단을 보내지 않거나 대표단의 급을 하향하는 식의 '외교적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이 60%”라고 보도했다.
또 유라시아그룹은 선수들 참가를 막는 방식으로 보이콧에 나설 가능성은 30%이며 미중 긴장이 누그러질 경우 공식적 보이콧은 하지 않고 각국 정상이 일정상의 이유를 들어 불참할 수도 있는데 이런 가능성은 10%라고 내다 봤다. 다만 일본과 인도, 한국 같은 미국의 아시아 동맹국은 보이콧에 동참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한편 프라이스 대변인은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에 대해 “관련 보도를 인지하고 있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북한의 엄중한 대응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원론적 태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