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 방역기준 다시 보라" 정 총리 돌려세운 '그'의 절규

입력
2021.01.08 13:00


정세균 국무총리는 7일 페이스북에 "며칠 전 경기 평택에서 피트니스센터를 운영하시는 관장님의 메시지를 받았다"고 썼다.

절규에 가까운 편지였습니다.
빚에 시달리며 하루하루 힘들게 버티고 계시는,
절박한 상황은 이 분만의 형편이 아닐 것입니다.
코로나로 인한 국민의 피해가 넓고 깊습니다.
최선을 다해 노력하지만 문제점을 모두 다 헤아리기에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정 총리를 '울린' 메시지를 한국일보가 8일 확인했다. 지난 달 31일 도착한 메시지였다.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지속할지 여부를 정부가 고심할 때였다.

두서 없는 글, 확인하실지 안 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이게 제가 할 수 있는 마지막 외침입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또 연장되면,
저는 운영을 더 이상 할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먹튀'라고 하는데, 회원권 환불조차 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 카드 값도 못 내고 있습니다.
트레이너 급여도 돈을 빌려서 줍니다.
그것마저 못 준 직원들이 있습니다.
진심으로, 살 수 있게, 운영만 하게 해주세요.
매일매일 빚 때문에 시달립니다.
'자살할까'를 수십 번 생각합니다.
제발 넓게 봐주세요.
연장만은 제발, 진심으로, 안 됩니다.


2019년 12월 빚을 지고 헬스장을 열었지만, 곧바로 코로나19 사태가 터져 빚을 갚기는커녕, '극단적 선택'마저 떠올려야 하는 헬스장 주인의 절규가 응축된 메시지였다. 이른 본 정 총리는 헬스장 등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제기된 '방역 형평성 논란'을 즉각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나섰다.

6일 정 총리는 "실내체육시설에 대한 방역기준을 두고 형평성 논란이 있다. 유사한 시설임에도 헬스장은 운영을 금지하고 태권도장은 허용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라며 "정부가 고심 끝에 정한 기준이지만, 현장에서 받아들여지지 못한다면 보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날에도 "형평성이 어긋나거나 현장의 수용성이 떨어지는 방역 기준은 곧바로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은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