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중 피곤할 때, 1층에 있는 카페까지 직접 커피를 사러 나가지 않더라도 자율주행 로봇이 가져다 준다면? 로봇이 다른 부서로 가져다 줘야 하는 서류 더미를 옮겨 주기도 하고, 방문객에게 특정 부서나 특정 직원에게 가는 길을 직접 안내하기도 한다면?
먼 미래의 상상이 아니다. 네이버가 내년 문을 여는 두 번째 사옥에서는 이런 일이 일상이 된다. 네이버가 지금껏 개발해 온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로보틱스 기술을 한 데 모은 '완전체' 시스템을 처음으로 상용화하기 때문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는 25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네이버의 연례 개발자 행사 '데뷰(DEVIEW) 2020' 키노트 스피치에서 '로봇의 대중화'를 선언했다. 그는 "로봇이 대중화하기 위해선 사람들에게 친숙해져야 하는데, 지금과 같은 로봇 제작 방식으로는 대량생산이 불가능해 어렵다"면서 "여러 개의 로봇이 동시에 똑똑해질 수 있도록 하는 네이버만의 기술 '아크(ARC)'로 제2 사옥에서부터 로봇 서비스 상용화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ARC란 인공지능(AI)과 로봇(Robot), 클라우드(Cloud)의 앞 글자를 딴 단어로, 로봇의 두뇌가 로봇 자체가 아닌 클라우드에 띄워져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존에는 로봇마다 고가의 센서를 탑재해야 했기 때문에 '로봇은 무겁고 비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네이버 기술로 '브레인리스(두뇌 없는) 로봇'이 가능해지면서 로봇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다. 석 대표는 "초저지연 5G 네트워크로 클라우드에 연결함으로써 수많은 로봇들이 동시에 똑똑해질 수 있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로봇 자체의 제작비와 배터리 소모를 줄여 로봇 대중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RC 시스템에는 그 동안 네이버가 개발해 온 모든 기술이 집약된다. 위성항법장치(GPS)가 통하지 않는 실내에서 로봇은 사진 한 장만 가지고도 현재 위치와 자신이 서 있는 각도까지 정확히 알아내고, 고도화된 자율주행 기술은 수백명이 지나가는 길에서도 로봇이 사람들과 부딪히지 않고 제 갈 길을 찾도록 해준다. 건물 곳곳에 달린 사물인터넷(IoT)과 센서를 통해 로봇은 서비스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이를 실현해내기 위해 네이버는 '프로젝트 1784'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신사옥 설계 단계에서부터 네이버랩스 등 기술 부서들을 깊숙이 참여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는 이날부터 3일간 로봇 기술부터 검색, AI, 브라우저,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네이버가 연구하고 있는 기술 현황을 전세계 개발자들에게 공유하는 세션을 개최한다. 가장 절실한 목표 중 하나는 '인재 영입'이다. 점점 연구 영역이 넓어지면서 글로벌 기업들과의 개발 인력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석 대표는 키노트 발표를 마무리하며 "네이버가 이끌어나갈 로봇 서비스 대중화와 같은 미래에 인재들이 많이 동참해주길 바란다"고 다시 한 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