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시 합의설' 흘린 최대집에…민주당 "자작극, 언론 플레이"

입력
2020.10.31 14:00
국회 복지위원장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SNS에서 "존재하지 않는 합의설로 국민 농단"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을 향해 "자작극적 언론플레이를 즉각 중단하라"라고 31일 말했다. 최 회장은 앞서 의사 국가고시(국시) 실기시험 재응시 문제가 해결 단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의협 최대집 회장의 농단이 묵과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며라 "존재하지 않는 당·정·청 국시 합의설을 흘리며 자기 정치의 도를 넘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호전 후의 의·정 협의체 개최라는 의정 합의에 조건을 거는 일체의 시도는 합의 파기"라고 경고했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등을 논의할 의·정 협의체 구성을 앞두고, 의협에서는 "정책 협의 이전에 의대생의 의사 국시 재응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라면서 '투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정부는 '재응시는 불가하다'라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들의 동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최 회장이 "(의사 국시)실기 시험을 위한 실무적 프로세스가 진행 중이다. 금주 화요일, 수요일 중 당·정·청의 입장을 확인했다"고 주장하면서 물밑에서 국시 재응시 관련 합의가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나왔다.

김 의원은 "제가 복지위원장을 맡기 전의 합의였고, 국민의 관심과 의대생들의 미래가 걸린 일이어서 정치인이자 부모의 입장에서 신중히 지켜보고 있었지만 한 마디 엄히 경고 안 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의대생 국시 혼란을 가져온 이른바 의료계 선배들과 책임자들은 국민 앞에 말과 행동을 삼가라"고 했다. 그러면서 "부모의 마음으로 의대생들을 염려하고 의료공백을 우려하면서도 건전한 의료의 미래를 위해 엄한 부모의 분노를 거두지 않고 있는 국민을 더 이상 기망하려하지 말기를 경고한다"고 덧붙였다.

또 "더 이상의 국민 협박과 기망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저런 상대와 어떻게 국민건강의 미래를 협상하겠는가"라고 불쾌한 심기를 드러냈다.

전혼잎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