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발생한 '코로나 블루' 현상을 막을 책이 시급하다며 '케렌시아' 메시지를 던졌다.
케렌시아는 스페인 투우 경기에서 나온 말이다. 투우장의 소가 일전을 앞두고 잠시 쉴 수 있도록 마련한 휴식 공간이다. 투우사는 케렌시아에 있는 소를 건드려선 안 된다는 나름의 룰도 있다. 최근에는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안식처를 찾는 소비 행태를 가리키는 의미로 확대됐다. 자연에 기반을 두고 느긋한 삶을 사는 '슬로우 시티'와 관련이 깊다.
이날 이 대표의 발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취업난과 실직, 사회적 활동 제한으로 느끼는 고립감과 불안감 등 정신적 트라우마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상황을 더는 두고 볼 수 없다고 한 것이다. 코로나19 방역에 집중하느라 그 동안 놓친 '마음의 방역' 체계까지 갖춰 'K-방역'을 완성하겠다는 취지다.
지친 국민이 마음 놓고 쉬고, 마음의 상처를 극복할 수 있도록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서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당 정책위원회에는 정부와 여당,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케렌시아를 만들 수 있는지 검토하라는 지시까지 내렸다.
평소 정책의 세부사항까지 살뜰히 챙기는 것으로 유명해 '디테일에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 이 대표가 케렌시아를 언급한 건 시 '아침편지'로 유명한 고도원 국립산림치유원 원장의 역할이 컸다.
고 원장은 이날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4ㆍ15 총선이 끝난 뒤 이 대표와 종종 만나며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할 힐링센터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나눴다"며 "이 대표의 오늘 발언은 그 동안 저와 대화를 나누면서 느낀 부분을 반영한 것 같다"고 밝혔다.
고 원장은 충북 충주에 있는 치유센터인 '깊은산속옹달샘'을 15년 넘게 운영하며 정신건강을 연구해 온 '힐링' 전문가다. 이 대표와는 1980년대 말 인연을 맺었다. 고 원장은 당시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였고 이 대표는 동아일보 정치부 기자로, 평민당을 함께 취재했다.
이후 한동안 연락 없이 지내던 두 사람은 2019년 3월에 재회하게 된다. 고 원장이 2018년 10월 국립산림치유원 원장을 맡게 되자 당시 이낙연 국무총리가 연락을 했고, 두 사람은 5개월 뒤 만남을 가졌다.
이 대표가 케렌시아에 관심을 갖게 된 건 이때부터다. 고 원장은 당시 국무총리였던 이 대표에게 '우리 사회의 케렌시아가 필요하다'고 설명했고, 이 대표도 이에 공감을 표시했다는 게 고 원장의 설명이다.
이때만 해도 필요성에 공감한 정도였지만, 이 대표는 4ㆍ15 총선을 거치면서 케렌시아에 대해 깊게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고 원장은 전했다. 이 대표는 3월 민주당 국난극복위원장을 맡으면서 감염병의 문제점과 대책을 다룬 많은 보고를 받았고, 총선 이후에는 고 원장과 만나 코로나 블루에 대해 깊은 대화를 나눴다.
고 원장은 "이 대표가 총리 때만 해도 치유센터가 우리 사회에 필요한 기구라는 일반론에 동의하는 정도였는데 총선 전후로 몇 차례 찾아왔다"며 "특히 국난극복위원장 때 잘 보이지 않는 마음의 방역을 신경 못 쓰고 있어 안타깝다고 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대표 취임 전부터 케렌시아에 대한 정책 구상을 그려 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 취임 전인 국난극복위원장 시절인 6월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사회적 힐링의 필요성' 세미나에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
보통 당 지도부들은 국회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만 한 뒤 퇴장하지만, 이날 이 대표는 세미나가 끝날 때까지 자리를 지켰다고 한다. 이 대표는 이 자리에서 "케렌시아 개념을 알게 해준 고 원장에게 감사하다"며 고 원장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고 원장은 치유센터에 대해 "코로나19로 생긴 짜증과 울화, 스트레스를 제때 해소하지 않으면 자살이나 범죄 등 극단적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코로나19로 지친 마음의 응어리를 풀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제는 케렌시아 같은 치유센터가 논의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