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할 부지로 서울 중구 방산동 일대 ‘미 공병단 부지’가 낙점됐다. 이로써 17년간 표류해 온 국립의료원 이전 문제가 일단락됐지만, 당초 이전 예정지였던 서초구의 반발과 부처 협의라는 변수가 아직 남아 있다.
서울시와 보건복지부는 1일 국립중앙의료원을 현재 서울 중구 을지로6가에서 중구 방산동 일대 미 공병단 부지로 신축ㆍ이전하기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지난 4월 28일 박원순 서울시장이 국립중앙의료원을 당초 이전 예정 지역인 서초구 원지동이 아닌 미 공병단 부지로 이전하자고 제안하면서 비롯됐다.
국립중앙의료원은 건물 등이 심각하게 노후화한 사정을 고려해 2003년부터 서초구 원지동으로 자리를 옮기려 했지만, 이전 논의가 번번이 무산됐다. 원지동 부지 인근에 경부고속도로가 있어 소음이 심하고, 주변 지역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터라 중앙감염병전문병원 신설을 비롯한 의료원의 확대 이전을 원했던 서울시로서는 부지 활용에 제약이 크다는 점이 걸림돌이 됐다. 교통이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복지부와 서울시는 올해 11월 말까지 국립중앙의료원 신축ㆍ이전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방안을 마련하고, 연말 이후부터 부지 매각ㆍ매입 등의 절차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번 업무협약이 17년간 지속한 국립중앙의료원 신축ㆍ이전 논란을 마무리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국립중앙의료원이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의 중추 기관으로 도약하는 것은 물론 중앙감염병 전문병원을 신축해 감염병 대응 역량을 한층 강화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도 “국립중앙의료원이 감염병 대응 및 진료역량을 높여 2,500만 수도권 시민들의 건강을 지킬 것으로 기대한다”며 제안을 수용한 정부에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러나 방산동 이전까지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당초 의료원이 이전키로 예정됐던 서초구의 반발이 예상된다. 원래 의료원 이전은 기피시설인 서울추모공원이 현 서초구 원지동에 들어서기로 하면서 구민들을 위한 보상차원에서 약속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초구로의 이전이 백지화된 만큼 그에 상응하는 또 다른 반대급부가 필요할 수 밖에 없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초구 문제를 비롯해 여러 가지 후속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계 부처간 협의도 필요하다. 방산동 미군 부지에 대한 환경부의 환경영향평가 결과가 나오고, 그에 따라 부지 복원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 부지를 소유한 국방부와 주한미군 사이에 사용권 반환절차도 남아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처간 협의는 복지부 담당”이라면서도 “공병단이 주둔했던 곳이라 부지의 오염도가 심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고, 부지 매각도 국방부가 주한미군 이전 비용 마련 문제가 있어 사용권 반환이 이뤄지면 매각할 가능성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