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구성된 비상계엄 공조수사본부가 15일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를 받는 윤석열 대통령 체포에 성공했다. 실패로 돌아갔던 지난 3일 1차 영장 집행 시도 때완 확연히 다른 모습이었다. 영장 집행 성공의 요인으로 '인해전술'과 '심리전'이 꼽힌다.
체포영장 집행 주체는 엄밀히 말해 공수처지만 이번 체포작전을 주도한 건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이었다.
경찰은 1차 때보다 훨싼 더 많은 인력으로 강한 체포 의지를 드러냈다. 이날 가용된 경찰 병력은 4,300여 명. 공수처 파견 형사 약 570명과 경찰청을 비롯해 서울과 인천, 경기남부·북부청, 안보수사대 소속 약 450명, 인천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와 형사기동대 약 100명 등 수사관만 1,100여 명이 투입됐다. 1차 당시 체포조 인력(120명)의 9배가 넘는다. 이 밖에 집회 인파 관리를 위해서도 기동대 54개 부대 3,200여 명이 배치됐다. 역시 1차 때보다 500명 더 많았다.
수사 경험이 풍부한 광역수사단 소속 형사들을 주축으로 내세운 것도 주효했다. 이날 투입된 서울청 소속 한 지휘관은 "관저 지형과 저지선 등에 대해 공부를 많이 했고, 경호대 위치나 저지선 위치 등을 분석해 동선을 치밀하게 준비했다"고 했다. 버스 차벽과 원형 철조망을 제거하기 위해 사다리와 절단기도 미리 준비했다.
경호처 수뇌부에겐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던지고 일반 경호관들에겐 집행 협조 시 선처를 약속하는 '강온 전략'도 잘 먹혀들었다. 이날 대부분 경호처 직원들은 관저 내 대기동에 머물거나 휴가를 신청하는 등 집행 저지에 소극적이었다. 1·2차 체포 작전에 모두 참여했던 한 경찰관은 "오늘은 대결 구도가 전혀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체포조가 사다리로 '버스 차벽'을 넘은 뒤 해당 차량들을 이동하기 위해 안으로 들어가보니 친철하게도 차 열쇠가 놓여 있었다고 한다. 경찰 관계자는 "왜 이러나 싶을 정도로 경호처가 협조적이었다"고 전했다. 공수처 역시 브리핑을 통해 "1차 집행 때와 달리 집행을 적극 막는 경호처 직원들은 없었다"고 밝혔다.
관저 진입 당시 김성훈 차장과 이진하 경호본부장의 체포영장 집행 사실을 전면에 앞세운 것도 효과를 봤다. 경호법상 경호 대상은 대통령과 그 가족에 한정되는 만큼 경호관들로 하여금 진입 저지에 나서지 않을 명분을 준 셈이다. 1차 시도 당시 '인간띠'를 만들며 영장 집행을 막는 바람에 '사병 동원' 논란이 일었던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55경비단과 33군사경찰경호대와의 충돌도 없었다.
이제 특수단 수사는 경호처 수뇌부로 향할 전망이다. 입건된 경호처 간부 5명 중 박종준 전 경호처장과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은 경찰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 나머지 '강경파 3인방' 가운데 김성훈 경호차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의 경우 체포영장이 발부됐으나 이들이 윤 대통령 경호 업무를 마친 뒤 변호인과 함께 출석하겠다고 약속해 특수단은 이날 집행을 보류했다. 두 사람 다 1차 영장 집행 당시 강경 대응을 주도했고 3차례 출석 요구에 불응한 점 등을 고려하면 특수단이 곧 강제로 신병 확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김신 가족부장은 아직 한 차례 출석 요구만 거절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