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의 심리 절차에 본격 착수함에 따라 윤 대통령도 변호인 인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사 대비와 탄핵심판 절차를 동시에 밟아야 하는 만큼 대규모 변호인단이 꾸려질 전망이다.
윤 대통령 측 관계자는 16일 "수사기관이나 법원, 헌재 등 사법기관 직무에 대응할 변호인단을 구성 중에 있다"며 "검찰 소환 요구 등 일부 상황에는 이미 변호인들이 대응하고 있고, 언론홍보 변호사를 비롯해 수사와 재판, 탄핵심판 등 분야별로 역할을 나눌 것"이라고 말했다. 분야별 대응 방침을 밝힌 만큼, 변호인단 규모는 20여 명에 달할 것이란 얘기가 나온다.
노무현·박근혜 때도 '매머드급' 변호인단 구성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도 탄핵안 가결 나흘 만에 문재인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12명의 변호인단이 꾸려졌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 사퇴 한 달 만에 노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호인으로 선임돼 변호인단 구성 등 실무를 도맡았다.
노 전 대통령이 1987년 대우조선 노동자 이석규씨 사건으로 구속 위기에 놓였을 때 무료 변론을 자청하며 변호인을 맡았던 하경철 전 헌재 재판관도 변호인단에 합류했는데, 해당 사건 담당 검사가 노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주심(주선회 재판관)을 맡으면서 세 사람의 인연이 주목을 받기도 했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심판 당시 '원조 친박' 유영하 변호사를 포함해 18명의 변호인을 선임했다. 다만 노 전 대통령 때와 달리 박 전 대통령 때는 국정농단으로 인한 부정적 여론이 강했던 데다 탄핵 가능성도 높아 변호인단 구성에 난항을 겪었다. 변호인단이 한 번에 꾸려지지 않고 마지막 변론기일 직전까지 한두 명씩 추가 선임됐다.
박 전 대통령의 경우 대통령 변호인단이라 하기엔 무게감이 떨어졌다. 헌재 재판관 출신의 이동흡 변호사가 합류했지만, 2013년 헌재 소장 후보로 올랐다가 각종 논란으로 자진 사퇴했던 전력이 있었다. 김평우, 서석구 변호사는 국회의 탄핵소추를 '섞어찌개'에, 박 전 대통령을 '예수' '소크라테스'에 비유하는 등 막발 변론으로 구설에 올랐다.
대규모 변호인단을 꾸리면 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다. 노 전 대통령 탄핵심판 때 문 전 대통령은 "국회에 의해 부당하게 제기된 탄핵소추 심판의 변호인 비용을 대통령이 내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무료 변론을 받고 있었는데, 정치적 공세를 의식해 개인 자금으로 변호사들에게 500만 원씩을 지불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도 대규모 변호인단을 꾸릴 것으로 예상돼 비용 부담이 작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