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결정 변수로 ‘환율’을 꼽았다. 사실상 연내 추가 인하는 어렵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한은이 금리 조정 시기를 놓쳤다는 비판, 경제 분석 오판 지적에는 정면 반박했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연차 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이 총재는 25일(현지시간) 국내 기자단과 만나 “달러 환율이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높게 올라 있고, 상승 속도도 크다”며 “10월 금통위에서는 고려 요인이 아니었던 환율이 다시 고려 요인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가파른 환율 상승세가 추가 금리 인하 여력을 제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전환 이후 환율 안정을 기대했지만, 미국 경제의 견고한 성장과 대선 결과 불확실성 탓에 미 정책금리가 금방 내려가지 않을 것이란 견해가 커졌다고 이 총재는 설명했다. 실제 달러화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부각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는 하락해 25일 장중 원·달러 환율이 1,390원을 뚫는 등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이 총재는 내달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수출 성장률 둔화가 내년도 경제성장에 미칠 영향 △거시건전성 정책의 금융안정 효과 △미 대선 이후 달러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올해 성장률은 고려사항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4분기가 정말 안 나온다 해도 추세상 올해 성장률은 잠재성장률(2%)보다 반드시 높을 것”이라며 “성장률이 갑자기 망가져서 경기를 부양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실기론’ 비판은 두 가지 주장으로 나눠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 “과거 금리를 더 많이 올렸으면 지금 금리 인하 효과가 컸을 것이란 의견은 환자를 일부러 많이 아프게 만든 다음에 약을 써서 ‘명의’ 얘기를 들어야 한다는 견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자영업자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고통을 더 키웠을 것이란 점에서다. 7월에 미리 금리를 낮췄으면 경기가 좋아졌을 것이란 의견에는 “반드시 틀렸다고 말하기 어렵지만, 1년쯤 지난 다음 평가해 달라”며 “금융 안정 고려 없이 금리를 낮췄다면 부동산 가격이 잡혔을 것 같나”라고 반문했다.
한은의 경기 예측 능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방어했다. 한은은 8월 처음으로 분기별 전망을 내놓으면서 올해 3분기 성장률을 0.5%로 내다봤는데, 실제 속보치는 0.1%로 크게 못 미쳤다. 이 총재는 “분기 수치는 연간보다 변동이 훨씬 크다”며 “3분기 숫자를 연간으로 반영하면 2.4%였던 전망치가 2.2%나 2.3% 정도로 조정되는 것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분기별 자료의 변동성에 너무 일희일비, 과잉반응하지 말아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