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무게를 급격히 뺐다가 요요현상을 겪는 등 체중 변화가 잦고 큰 중년일수록 치매 발생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류지원 교수와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윤형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에 등록된 국내 40세 이상 65세 미만의 건강검진 수진자 360만여 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연구진은 1~2년 간격으로 5회 이상 건강검진을 받은 환자를 10년간 추적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해 체중이 늘어난 뒤 줄거나, 감소한 후 증가하는 체중 사이클 변동 폭을 네 구간(3‧5‧7‧10% 이상)으로 나눠 살폈다.
그 결과, 변동 폭이 3% 이상인 체중 사이클을 경험한 환자의 경우 치매 발생 위험도가 3% 미만인 정상군보다 1.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동 폭이 10% 이상일 때는 치매 발생 위험도가 2배까지 확대되는 걸로 나왔다. 발병 평균 나이는 58세로, 조기 치매에 해당하는 연령이다. 추적관찰 기간(10년) 동안 체중 변동 폭이 10% 이상인 체중 사이클을 2회 이상 겪은 경우 치매 위험은 2.5배 증가했으며,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체중 변동 위험성도 컸다.
급격한 체중 감량이나 요요현상 등 체중 변동 사이클 폭이 크고 횟수가 잦을수록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고, 조기 치매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단 뜻이다. 류 교수는 “지나친 체중 감량은 대사 스트레스 등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중년 이상에선 적정한 체중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각종 질환을 불러오는 비만은 정신 건강에도 직격탄이다. 앞서 고려대 구로병원 연구진은 노인의 허리둘레가 클수록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65세 이상 87만2,082명의 코호트를 분석한 결과다. 복부비만을 가진 정상 체중 노인의 경우 복부비만이 없는 정상 체중 노인에 비해 남성은 15%, 여성은 23% 치매 위험이 높았다. 국내에선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가 90㎝ 이상, 여성은 85㎝ 이상일 때 복부비만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