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내년 예산을 올해 본예산보다 1.4%(958억 원) 증가한 6조7,837억 원으로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어촌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바다생활권을 조성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바다생활권은 국민이 바다를 일자리·소득원으로 삼아 생활하거나 일상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어촌, 연안을 뜻한다.
이를 위해 어촌의 경제·생활 인프라를 확충하는 '어촌신활력증진사업' 예산을 962억 원에서 2,257억 원으로 2배 이상 늘렸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를 2곳 선정, 20억 원을 투자하는 사업도 새로 추진한다. 청년인구 어촌 정착을 위해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임대형 육상양식단지, 일자리 연계 주거단지인 청년귀어종합타운도 각각 50억 원, 30억 원을 들여 3곳씩 만들 계획이다.
섬 지역 주민 교통을 위한 여객선 지원도 강화한다. 민간자본과 함께 재정 87억 원을 책정해 국고여객선펀드를 조성, 노후 국고여객선 5척을 적기에 대체한다. 최근 국민적 우려가 큰 전기차 화재에 대비해 국고여객선 총 29척에 전기차 화재 대응장비를 보급한다. 전국에 1척 뿐인 예비선도 총 3척으로 늘릴 예정이다.
해양수산 역동경제 구현과 안심 수산물 환경, 어가 경영안전망에도 중점 투자한다. 양식업과 종자산업의 친환경·스마트화를 지원하는 사업 예산을 각기 119억 원, 10억 원 증액했다. 해양환경·바이오 등 유망기술을 가진 15개사에 30억 원을 신규 투자하고, 수산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금융·인프라·마케팅 지원도 1,990억 원에서 2,315억 원으로 강화한다.
식탁 물가 부담 완화 차원의 수급 관리(3,278억 원), 소비 할인(1,000억 원) 예산도 챙겼다. 국제적으로 수요가 높아져 국내 수급이 부족해진 김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김 육상양식 시스템 개발에 새로 60억 원을 배정했다. 온라인 도매시장 정산·결제자금(105억 원)을 지원하고, 수산물직매장 30곳을 설치(14억 원)한다.
기후위기 대응에도 만전을 기한다. 해양수산 분야 저탄소화 녹색기술 개발 투자를 566억 원에서 755억 원으로 키우고, 우리 해역 기후변화 감시·예측 통합관리 체계 신규 구축에도 28억 원을 배정했다. 고위급 국제회의인 '아워오션 콘퍼런스'를 국내에서 개최(19억 원)해 국제 논의를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예산은 8.2%(601억 원) 감축한 6,718억 원을 책정했다. 방사능 검사 장비 도입과 관련 시스템 구축이 마무리됐고, 수산물에 대한 불안심리가 줄어든 점을 고려한 조치다. 송명달 차관은 "감시 예산은 유지했다"며 "줄인 예산은 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재편성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