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이 '강제동원' 문구 없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논란이 일자 "등재 전 일본 정부의 행동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9일 "해당 논란과 관련해선 외교부가 충분히 설명을 했다고 본다"면서 "세계유산 등재 전 일본 정부가 사도광산 인근에 조선인 노동자 전시실을 여는 등 선(先)조치를 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해당 논란 관련 외교부의 입장은 광산 2㎞ 거리인 아이카와 향토 박물관에 선제적으로 설치된 강제동원 관련 전시물에 노동자의 '모집', '관(官) 알선', '징용'에 조선총독부가 관여했다는 내용이 담긴 만큼 '강제' 표현이 직접 명시되진 않았더라도 충분히 '강제성'을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이 일본의 '선조치'를 강조하는 이유는 2015년 일명 '군함도'라 불리는 하시마섬의 세계유산 등재 전례와의 차이점을 부각하기 위해서다. 당시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역을 포함한 전체 역사를 알리겠다고 약속했지만, 5년이 지난 2020년에야 섬과 한참 떨어진 도쿄에 '군함도 정보센터'를 마련했다. 그나마 내용물도 강제동원 역사를 제대로 알리긴커녕 '조선인 차별은 없었다'는 왜곡된 주장으로 채워졌다. 이번엔 전시물 설치 등 일본 측의 실질적 조치를 '미리' 이끌어낸 만큼 평가받을 만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이번 사도광산 등재 관련해 현재까지 일본 정부가 이행한 조치와 관련 △'전시 상설화'는 합의되지 않은 점 △전시에 '순화된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점 등이 여전히 논란으로 남아 비판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외교부는 부인하고 있지만, 일본 언론을 통해 제기된 '한국 정부가 사도광산 강제노동 표현을 삭제하는 데 일본 정부와 합의했다'는 의혹도 정치권에서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날 해당 논란에 대해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 등 관련 상임위에 경위 파악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