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없는 청년도약계좌... "신용점수 얹어주고 부분 인출 허용"

입력
2024.07.23 16:30
청년도약계좌 출시 1년
'300만 목표'에도 유지 120만 명
2년 이상 가입자에 당근책 제시

정부가 1년 전 야심차게 내놓은 청년도약계좌의 성적이 부진하자 '당근책'을 꺼내 들었다. 신용점수 가점 부여, 부분 인출 허용 등으로 이전 보완책에 비해 파격적이라는 평가다.

금융위원회와 서민금융진흥원은 23일 서울 명동에서 '청년도약계좌 도입 1년 -청년, 금융을 이야기하다' 행사를 열어 제도 성과와 향후 운영 방향 등을 논의했다. 지난해 6월 출시한 청년도약계좌는 19~34세 청년이 5년간 매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연 6% 금리에 정부 기여금까지 더해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정책상품이다.

문제는 예상보다 인기가 없다는 점이다. 정부가 "연말까지 306만 명이 가입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실제 계좌 개설 건수는 51만 건에 그쳤다. 금융위는 올해도 누적 가입자 목표를 300만 명으로 잡았지만 사실상 달성하기 힘들어 보인다. 상품 출시 1년째인 지난달까지 가입자 수는 133만 명, 중도해지 없이 유지하는 사람은 120만 명(90%) 수준이다. 가입자 평균 연령은 28.1세, 평균 납입잔액은 524만 원이다.

인기가 시들한 가장 큰 이유로 급전 수요가 많은 청년층 입장에서 만기(5년)를 기다리기 어렵다는 점이 꼽힌다. 1년간 중도해지자만 약 13만 명에 달했는데, 그 이유로 대다수가 '생활비 마련'을 들었다. 이전 정부 정책인 청년희망적금 유지자가 202만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중복 가입을 제한했기 때문에 새로 가입할 수 있는 청년 수가 많지 않았다는 점도 거론된다. 금리 자체도 고금리 상황이라 시중은행 적금에 비해 매력적이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제도 개선을 위해 이번에 여러 조건을 내걸었다. 먼저 올해 4분기부터 2년 이상 가입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한 청년에게 신용평가점수를 최소 5~10점 이상 자동 부여해 주기로 했다. 금융 이력 부족으로 신용도가 낮은 청년층에 상당한 도움이 될 전망이다.

내년부터 부분 인출 서비스도 내놓는다. 금융위는 대상 청년에게 부득이하고 긴급한 목돈 수요가 상당하다고 판단, 2년 이상 가입자에 한해 누적 납입액의 최대 4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가입 3년이 넘어야 부분 인출분에 대해서도 이자소득세 비과세·정부기여금(60%) 혜택이 주어진다.

이 밖에 금융위는 온라인·오프라인에 걸친 '원스톱 청년금융 컨설팅 센터'를 하반기 중 구축한다. 오프라인 센터 5개소와 온라인 웹사이트 형태로 운영된다. 청년도약계좌 정보를 쉽게 알려 주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도 운영하기로 했다.

지난달 청년금융 포커스그룹을 운영한 주소현 이화여대 교수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유지하면서 긴급한 목돈 필요에 대응할 수 있는 선택지가 보강돼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이것이 이번 추진 과제로 구체화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곽주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