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에 혹이 생겼는데 꼭 제거해야 할까?

입력
2024.06.06 09:30
[건강이 최고] 용종이 10㎜ 미만이면 경과 관찰...정기검진해야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저장하는 담낭에 용종(혹)이 생기는 환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담낭 용종은 담석과 달리 담낭 벽에서 내부로 돌출돼 솟아오른 점막 형태로 발견된다. 대부분은 악성 종양(암)이 아니므로 곧바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담낭암일 가능성이 높다면 빨리 제거해야 한다.

한국간담췌외과학회에 따르면, 건강검진에 복부 초음파검사를 많이 시행하면서 담낭 용종 발견 비율이 전 인구의 5% 이상으로 늘었다.

전체 담낭 용종의 98%는 비종양성 용종이다. 이 중 절반 이상은 콜레스테롤 용종으로 10㎜ 이하이면서 무증상이라면 수술 등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고 경과를 지켜보면서 정기적으로 영상 검사를 하면 된다.

반면 담낭 용종 중 암 형태인 담낭암은 5년 생존율이 5%에 불과해 예후(치료 경과)가 아주 나쁘다. 조기 발견하면 담낭절제술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주변 장기로 전이가 잦고 재발률도 높아 치료 시기를 놓치면 완치하기 어렵다.

최정완 고려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용종 크기가 10㎜ 이하이면서 증상이 없으면 대부분 양성이고 5년 간 추적 관찰을 해도 별다른 변화가 없지만 일부는 암으로 악화할 수 있기에 정기검진을 해야 한다”고 했다.

담낭 용종 여부는 복부 초음파검사로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담낭이 조직 검사를 하기 어려운 장기이기에 용종이 담낭암인지 여부를 완전히 판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담낭 벽은 두께가 2㎜ 정도로 얇은 데다 내부에 소화 효소가 들어있기에 미세한 구멍이라도 뚫리면 소화 효소가 복강 안으로 새어 나와 복막염을 일으켜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에 조직 검사는 하지 않는다. 수술 전까지는 영상 검사로만 악성 여부를 감별할 수밖에 없다.

최정완 교수는 “용종 크기는 보통 5㎜ 이상이면서 콜레스테롤 용종인지 종양성 용종인지가 확실하지 않으면 정밀 검사를 해야 한다”며 “복부 초음파검사보다 용종 감별에 뛰어난 내시경 초음파검사나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는데, 용종의 정확한 크기와 개수, 모양, 혈관 포함 여부 등을 다양하게 분석해 악성 용종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담낭 용종은 조기에 악성 여부를 감별해 악성이라면 재빨리 수술하는 게 주요 치료법이다. 담낭 용종은 대개 증상이 거의 없지만 드물게 복통 같은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증상이 나타난다면 용종 크기와 관계없이 담낭절제술을 고려해야 하며, 증상이 없더라도 크기가 10㎜ 이상이면 여러 검사 소견을 바탕으로 수술할 수 있다. 또한 용종 크기는 작더라도 50세 이상이거나 담낭 결석이 동반되면 수술을 고려한다.

다른 경우는 3~12개월 간격으로 초음파검사로 추적 관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만 관찰 중 용종이 지속적으로 커지거나 10㎜ 이상이 되면 수술할 수도 있다.

담낭 용종 치료가 담낭암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담낭을 절제하는 방향으로 귀결되기는 하지만 담낭을 잘라낸 뒤에도 담즙은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가므로 소화 기능엔 별다른 변화가 없다.

수술 후 소화불량·피로감·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일시적이고 점점 호전된다.

최정완 교수는 “담낭 용종을 예방하려면 고지방·고칼로리식은 피하고 균형 잡힌 식단이 도움이 된다”며 “또한 적절한 운동으로 표준 체중을 유지하는 게 좋으며 특히 정기검진으로 악성 담낭 용종을 조기 진단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