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국회의장 이변' 사태에 '탈당 카드'까지 꺼내든 더불어민주당 강성 당원들 반발이 심상치 않다. 이들의 '민주당 보이콧' 움직임에 당 지지율까지 휘청이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부랴부랴 당원 달래기 카드를 고심하고 나섰다. 원내 선거에 당원들 '표심'을 반영, 강성 당원들 목소리를 키워주겠다는 게 핵심인데 오히려 중도층 이탈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20일 여론조사 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민주당의 지지율은 전주 대비 6.1%포인트 하락, 34.5%(ARS 조사)를 기록했다. 같은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35%까지 떨어진 건 올해 들어 처음. 강성 당원들 중심의 잇단 탈당 러시 등 의장 선거의 후폭풍이라는 게 주된 분석이다. 이날까지 민주당에 접수된 탈당 신청만 7,000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내 위기감은 한층 고조된 모습이다. 특히 이번 지지율 추락이 야권 지지층이 주도하는 모습이라는 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실제 이념 성향이 '진보'라고 밝힌 응답자의 민주당 지지도는 전주 68.9%에서 59.5%까지 크게 떨어졌다. 게다가 리얼미터 조사만이 아니다. 야권 성향 여론조사 기관 꽃에서도 민주당 지지율은 이 같은 추세를 반영하고 있다. 전주 대비 7.2%포인트 하락해 33.4%(전화면접조사)에 그쳤는데, 특히 민주당 안방인 호남에서 13.2%포인트나 급락했기 때문이다.
당내에선 이를 타개하려는 아이디어가 각개전투식으로 쏟아지고 있다. 대부분 당원 권리를 실질적으로 정당 의사 결정에 반영하자는 의견이다. 먼저 김민석 의원이 '10%룰'을 치고 나왔다. 의원 투표에 국한됐던 의장이나 원내대표 선거에도 당원 표심을 10%씩 반영하고 점차 확대하자는 것이다. 일부이긴 하지만, 사실상 당원 직선제를 띄운 것이다. 지도부 선출 전당대회도 예비경선부터 당원 투표 도입을 제안했다. 김 의원의 주장에 사무처 당직자 출신 초선 당선자들 5명도 기자회견까지 열고 호응했다.
이들은 이를 '직접 민주주의 확대=당원 정치'라는 명분을 들이댄다. "민주당의 250만 당원은 직접 민주주의를 확대시켜 왔다"며 "OECD 국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고 당원정치를 한껏 추켜세우는 식이다.
여기에 이재명 대표가 공개적으로 약속한 시도당 위원장 선거 당원 권한 확대와 관련해서도, 민주당은 실무 작업에 곧바로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당원과 지지자의 상실감과 배신감은 치유하기 위해선 근본적인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번 사태를 극복할 대안을 논의할 전 당원토론까지 제안했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다. 당원 중심 정치가 자칫 강성 포퓰리즘으로 흐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민주당 재선 의원은 "원내대표나 의장은 협상력도 고려해야 한다. 강성 당원들 눈치 보고 휘둘리는 게 정치의 전부는 아니지 않으냐"고 지적했다.
결국 당심과 민심의 괴리를 어떻게 좁혀 나갈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친명계 핵심 관계자는 "대리인(정치인)이 주인(당원 및 지지자)의 말을 듣지 않을 때 어떻게 바로잡을지 그 제도에 대한 고민은 전 세계 정치학계의 화두"라며 "당원 교육 등을 통해 당원들의 다양한 의사를 모으고, 스펙트럼을 좁혀 가는 작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