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OTT 영상 시청이 보편화되고, 젊은 층의 패션 아이템으로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헤드폰과 이어폰 사용이 급증했다. 하지만 개인 오디오 기기를 장시간, 큰소리로 사용하는 잘못된 습관이 청력 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도입된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이명 진단을 받은 환자는 2010년 28만389명에서 2022년 34만3,704명으로 늘었다.
김상훈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헤드폰과 이어폰 사용이 반드시 이명과 같은 청력 질환을 일으키는 건 아니다”며 “하지만 장시간 그리고 큰 소리로 헤드폰과 이어폰 사용을 하게 되면 청력 저하, 이명 및 난청 등의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했다.
청력 질환 중 대표적인 이명은 외부의 소리 자극 없이 소리를 느끼는 것으로 귀 질환의 중요한 증후 중 하나다.
환자들은 '윙~' '쐬~'하는 소리, 매미 우는 소리, 바람 소리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는 이런 소리가 혼합되어 들린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따라서 동반된 귀 질환의 평가가 중요하며, 청력 저하나 현기증 등 다른 증상의 동반 유무에 따라 진단 및 치료법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다.
김상훈 교수는 “이명 증상을 호소하는 대부분의 환자는 일정 수준 이상 난청이 동반될 때가 많으며, 정확한 청력 검사로 청력 저하 정도를 파악해야 하고, 환자가 느끼는 이명이 어떤 주파수, 어느 정도 크기인지 파악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일반적인 이명이 아닌 박동성 이명, 근경련성 이명, 타자기 이명 등의 이명은 정확한 병력 청취 및 진단적 접근을 통해 증상 완치를 기대할 수 있을 때가 많다”며 “정확한 병력 청취, 환자 검진, 청력 검사 및 영상 검사 등을 해야 하며 이비인후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명은 육체적 스트레스가 심하거나 주위가 조용해 질 때 더 심해지고 신경이 예민해져 있을 때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일상생활에서 집중력 저하, 수면 장애로 이어져 일상생활의 여러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다만, 귀에서 소리가 들린다고 해도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 반드시 치료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이명은 치료가 잘 안 된다거나 평생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등의 부정적인 인식이 많은 질환이지만 이명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혹은 원인 질환에 대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이루어지면 대부분 불편감이 호전되고 완치까지 기대할 수 있다.
이명 치료는 크게 약물 치료, 소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 신경 조절 치료가 있다. 그리고 이명 치료에 특화된 보청기를 통한 치료나 인공 와우 수술로 치료한다.
이명으로 인한 불편함이 심각하면 불면·불안·우울증 같은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어서 초기 단계에서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명 환자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생활 속에서 스스로 예방할 수 있는 습관을 갖는 게 중요하다.
김상훈 교수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사용할 때 최대 볼륨의 60% 이하로 유지하는 게 좋다”며 “이명을 생활 불편감 정도로 여기지 말고 건강 문제로 인식해 정확한 진단, 적절한 예방과 초기 치료를 통해, 이명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해 건강한 청력 관리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