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대외경제상 대표단'을 이란에 파견했다. 표면적으론 경제 교류지만 실상은 석유 등 자원 공급처 다변화로 대북제재를 무력화하겠단 의도로 보인다. 더불어 북한과 이란 모두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라는 점에서 러시아를 축으로 한 북한-이란 간 군사 밀착 관계 심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선중앙통신과 노동신문은 24일 "대외경제상 윤정호 동지를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이 이란을 방문하기 위해 전날 비행기로 평양을 출발하였다"고 보도했다. 북한 고위급이 이란을 방문하는 것은 2019년 이후 5년 만이다. 당시엔 박철민 북한 최고인민회의 부의장이 이란 의회 의장 등을 만나고 양측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통신과 신문은 이번 대표단의 규모나 일정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이번 방문은 이란과 이스라엘 간 무력충돌 발생 직후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북한과 이란은 1980년대부터 반미·친러 성향의 우방관계를 유지해왔다. 특히 미사일 기술거래를 물밑에서 추진하는 등을 군사협력을 심화해왔다. 우리 국가정보원은 이미 이란의 이스라엘 본토 폭격에 북한 미사일 기술이 사용됐는지 여부를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러시아를 정점으로 한 3각 공조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공교롭게 이번 대표단을 이끄는 윤 대외경제상은 지난해 11월 '북러 경제공동위원회' 북측 위원장으로 제10차 회의를 진행했다. 지난 3월 26일에도 러시아를 방문하는 등 대러 경제협력의 주요 창구였다.
우리 군 당국도 지난해 8월부터 올해 2월까지 포탄 등 군수물자가 북한에서 러시아로 넘어간 정황을 포착했다. 북한은 포탄을, 이란은 무인공격기 샤헤드-136과 탄도미사일을 주로 공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무기 기술이 러시아를 축으로 양측에 전해질 우려가 제기되는 이유다.
'반미연대' 결속을 다지고 과시하기 위한 움직임일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최근 들어 러시아·중국·베트남 등에 대표단을 파견하는 등 우방국과의 결속을 다지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을 압박하고 미국을 흔들기 위한 메시지로, 한미일 공조의 틈을 벌리겠다는 의도인 셈이다. 북한은 이날도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과 외무성 대외보도실장, 임천일 외무성 부상 등 3개 담화를 한꺼번에 쏟아냈다. 모두 한미연합훈련을 비난하고 러시아를 옹호하는 내용이다. 또한 북-이란 군사 협력 강화는 곧 한-이란 관계에 악재일 수밖에 없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과 이란은 전통적인 군사협력 대상이기 때문에 이를 굳이 대외경제성 대표단이 협의할 이유가 없다"며 "이란은 러시아가 제재 회피방법을 배울 정도로 제재 무력화 능력이 뛰어난데, 이와 관련한 논의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