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 누구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세월호

입력
2024.04.17 18:00
26면

편집자주

36.5℃는 한국일보 중견 기자들이 너무 뜨겁지도 너무 차갑지도 않게, 사람의 온기로 써 내려가는 세상 이야기입니다.


선장 출신인 김영모(71)가 2017년에 사용했던 낡은 수첩 표지에는 참을 인(忍) 자가 쓰여 있다. 해양 안전전문가인 그는 그해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일했다. 인양한 침몰선을 과학적으로 조사해 사고 원인 등을 밝혀내는 게 임무였다. 하지만 김영모에게는 1년 6개월의 활동기간 내내 '해양 적폐'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녔다. 참사 발생 당시 여당인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전신)이 추천한 인물이어서다.

김영모는 스스로를 '정치와 무관한 사람'이라고 선을 그었다. "사실 더불어민주당 측에서도 선조위 참여 의사를 물었는데 이미 자유한국당 제안에 응했기에 거절했다"고 한다. 세월호 참사는 평생 해양 안전을 가르쳐 온 그에게 너무 부끄러운 사건이었다. 이 때문에 선조위에 들어가 제대로 조사하는 게 중요할 뿐 누가 추천했느냐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실은 달랐다. 김영모의 말과 행동은 언제나 '자유한국당 추천 위원'이라는 프레임 안에서 해석됐다. 그는 "품은 들더라도 청해진해운이 세월호를 들여온 때부터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복합적인 사고 원인을 제대로 밝히자는 취지였다. 하지만 세월호 1기 특별조사위원회(2015~2016년) 당시 자유한국당 추천 위원들이 조사를 집요하게 방해하려 한 장면을 기억하는 이들은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김영모는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고 판단해 사표를 썼다. 그런데 선조위원장인 김창준이 만류해 남기로 했다. 그리고 참사 원인을 확정 짓기 위한 마지막 회의에서 세월호가 배 내부 결함 탓에 침몰했다는 '내인설'을 지지했다. 과학적으로 따져볼 때 가능성이 거의 없는 '외력설'(잠수함 충돌 등 외부 힘 탓에 침몰했다는 가설)을 기각한 것이다.

김영모는 세월호 참사 10주기 취재를 하며 만난 전문가 중 한 명이다. 참사 조사 과정에서 그와 비슷한 일을 겪은 이가 적지 않았다. 과학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인설을 지지하면 일각에서는 "왜 참사 책임이 있는 박근혜 정부와 같은 결론을 내려 하느냐"고 반문했다고 한다.

이처럼 세월호는 언젠가부터 '편'을 따지는 소재가 됐다. 안전이나 진실을 좇는 문제를 두고 정치적 유불리를 셈한 뒤 상대를 비난했다. 이는 진영을 초월한 현상이었다. 예컨대 세월호를 조사한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가 2년 전 권고한 54개 조처 중 윤석열 정부가 이행한 건 단 1개뿐이라고 한다. 정치 공세쯤으로 치부하는 듯하다. 박근혜 정부 때는 방첩 업무를 하는 군 기무사 요원이 유가족을 사찰했다. 유족을 정치적 반대 세력으로 본 것이다.

세월호는 원래 우리 모두의 의제였다. 10년 전 거대한 여객선이 300여 명을 가둔 채 침몰했을 때 온 국민이 애도했다. 우리는 참사 이후 줄곧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 여기엔 단순히 비극의 순간을 기억하겠다는 의미만 담겨 있지 않았다. 어떤 구조적 병폐가 참사를 낳았는지 샅샅이 조사하고 고쳐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노라는 다짐이기도 했다.

이 다짐은 여전히 유효하다. 우리는 세월호를 다 함께, 더 많이 이야기해야 한다. 나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일이다. 재난을 만들어내는 구조를 근본적으로 손보지 못하면 언제든 바로 내 곁에서 또 벌어질 수 있다는 사실. 이태원 참사나 오송 지하차도 참사에서 재차 확인하지 않았나. 세월호 참사는 누구만이 아닌 우리 모두의 끝나지 않은 아픔이다.

유대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