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쇄신 위해 '파격 총리' '쓴소리 비서실장' 발탁해야

입력
2024.04.13 04:35
19면

4·10 총선에서 참패한 정부와 여권이 민심을 추스를 첫 단추는 총리 교체 카드다. 총선 민의를 고려하면 속도감 있는 조치가 이어져야 한다. 윤석열 대통령으로선 사의를 표명한 한덕수 총리 후임에 누구를 발탁할지가 국정수습 및 쇄신의지를 드러낼 기회다. 향후 대통령의 국정 협치 의지를 평가할 가늠자이기도 하다.

윤 대통령은 임기 5년 전부를 여소야대, 그것도 이번 22대 국회에선 ‘반윤석열’로 뭉친 야권 192석을 상대해야 한다. 사실상 거국내각에 준하는 효과를 낼 총리가 요청되는 정치지형이다. 국민의힘이 개헌저지선을 단 8석 넘긴 위중한 상황까지 감안하면 단순 ‘관리형’보다 강한 변화를 상징할 ‘정무형’ 발탁이 필요해 보인다. 국민적 신망과 개혁성·도덕성을 겸비했다면 야권 인사에게라도 손을 내밀어야 한다.

언론에 거론된 몇몇 인사를 두고 더불어민주당에서 “용산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다”는 반응이 나온 것을 대통령실이 흘려들어선 안 된다. 야당의 허를 찌를 만큼 이념·지역·세대갈등을 넘어선 국민통합형 총리가 절실하다. 실제로 총리 후보자 임명은 야당이 다수인 국회에서 과반 동의가 필요하다. 국민이 공감할 수준이라면 악조건 속에 국정동력을 찾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대통령 비서실장의 경우 ‘윗분의 뜻’을 받드는 보위용 인사로는 곤란하다. 국민 눈높이로 민심을 가감 없이 전달하고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는 인물이어야 한다. 흐트러진 공직기강을 다잡아 분위기를 일신하고, 당정 및 야당과의 소통에 지장이 없어야 할 것이다.

소수파로 몰린 정권이 ‘국정 표류’에 빠지지 않는 것은 국민과 국가 이익에도 부합한다. 국회의 탄핵발의 당시 노무현 정부가 고건 총리를 내세운 사례나, 김대중 정부 때 초대 비서실장으로 대구·경북 쪽 김중권 노태우 정부 정무수석을 택한 전례도 참고해 볼 만하다. 반대 진영과 관계를 원만하게 풀면서도 뚝심 있는 인사가 나와야 할 것이다. 총리와 비서실장 인선은 윤 대통령이 '불통'의 국정스타일을 원점에서 바꾸는 대전환의 모멘텀이 돼야 한다. 그 내용에 따라 윤 정부 향후 3년의 성패가 판가름 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