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와 5개월 이상 전쟁 중인 이스라엘에 대한 국제사회의 ‘휴전 촉구’ 압박이 최고조에 달했다. 미국이 ‘즉각 휴전’ 문구를 담은 결의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낸 데 이어, 유럽연합(EU)도 ‘휴전’ 단어를 처음으로 넣은 정상회의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가자지구의 인도주의 위기가 ‘절대적 재앙’ 수준인데도 이스라엘이 가자 주민들의 마지막 피란처인 라파에서 지상전을 전개하려 하자 이를 막기 위해 총공세를 펴는 셈이다.
가장 주목되는 조치는 미국의 안보리 결의안 제출이다.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타임스(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2일 오전 안보리 표결에 부쳐지는 이 결의안은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초강경 모드 전환’이라는 게 중론이다. 초안에는 “모든 측면에서 민간인을 보호하고, 필수적인 인도적 지원 제공을 허용하며, 인도주의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안보리는) 즉각적·지속적인 휴전이 긴급히 필요하다고 결정한다”고 기재돼 있다. 또 “남은 모든 인질의 석방과 관련한 휴전 확보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외교적 노력을 명백히 지지한다”고도 적혀 있다.
이 같은 문구는 지난달과는 크게 달라진 것이다. 당시 미국은 ‘즉각적이고 인도주의적 휴전’을 촉구한 안보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했고, ‘실행 가능한 한 빨리 임시 휴전’을 주장했다. NYT는 “이번 결의안이 훨씬 더 강력한 언어”라고 평가했다. WSJ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이스라엘로부터 더 멀어진 것”이라며 “안보리 논의는 상징적 차원일 수도 있지만, 개전 후 워싱턴과 이스라엘 간 입장 차가 공개적으로 가장 뚜렷해졌다”고 짚었다.
EU의 대(對)이스라엘 압박도 이에 못지않다. EU 27개국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정상회의를 열고 공동성명을 통해 ‘지속 가능한 휴전 유도를 위한 즉각적인 인도적 교전 중단’을 촉구했다. 특히 성명에서 “이스라엘 정부는 라파 지상전에 착수하지 말라”고도 밝혔다. 호세프 보렐 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이스라엘은 분명히 자기 방어권이 있으나, 보복할 권리까지 있는 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미국과 EU의 노림수는 두 가지다. 우선 카타르 도하에서 지난 18일 휴전 협상이 재개된 만큼 이스라엘과 하마스 양쪽에 ‘휴전안 타결’ 압력을 가하는 신호다. 아울러 가자 최남단 도시인 라파에서 전면전을 수행하지 말라고 이스라엘에 보낸 경고장 성격도 짙다. 중동을 순방 중인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라파 지상전은 실수가 될 것”이라며 “(결의안이) 강력한 신호를 보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아랍 동맹국 간 의견이 일치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스라엘이 고집을 꺾을지는 미지수다. 이미 라파 지상군 투입을 승인한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가 한발 물러설 조짐은 전혀 없다. 오히려 이스라엘군은 21일 가자 북부에서 알시파병원 급습 작전을 나흘째 이어간 뒤 “하마스 대원 등 140여 명을 사살하고, 650명 이상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또 네타냐후 총리는 마이크 존슨(공화) 미국 하원의장의 초청에 따라 미 의사당에서 상·하원 합동 연설을 하는 것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바이든 대통령과의 불협화음 속에 공화당과 밀착하는 그가 워싱턴에서 미국 정부의 ‘휴전 촉구’를 정면 비판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건은 역시 안보리 결의안 채택 여부다. 유엔총회 결의안과 달리 안보리 결의안은 강제력이 있어 위반 시 각종 제재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WSJ는 “초안에 ‘휴전 후 이스라엘군의 작전 재개’가 언급돼 있어 러시아나 다른 안보리 상임이사국이 거부권을 행사할 수도 있다는 게 외교관들의 관측”이라고 전했다. 영국 가디언은 바이든 행정부가 과거에는 인질 석방을 휴전의 대전제로 삼았던 것과 달리, 이번 결의안에선 “양자를 느슨하게 연결 지었다”며 “미국이 유엔에서의 지도력을 되찾기 위해 미묘한 뉘앙스 차이로 줄타기를 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결의안에 이스라엘 입장이 어느 정도 반영돼 있어 실효성은 좀 더 나중에 따져봐야 한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