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을 앞두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공천한 인사들의 연령과 남녀 비율을 살펴본 정치권 인사의 평가다. 여야는 자신들의 공천이 잘됐다고 자평하며 상대 정당의 공천을 비방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지만, 전체로 보면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다. 기성세대의 정점에 있는 50대와 60대 남성들이 후보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청년과 여성을 비롯한 상대적 소외 계층은 본선 진출 통로가 막혔다. 정치권이 차기 국회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를 외면한 결과다.
7일 현재 국민의힘과 민주당은 각각 213곳, 197곳의 지역구 후보를 확정했다. 전체 254개 지역구에서 총선 대진표를 짜는 작업이 막바지 수순에 접어들었다. 여야 모두 1960년대(55세~64세)에 태어나서 1980년대 학번인 이른바 '86세대' 남성 후보자의 비율이 절반을 넘었다. '86 운동권 청산'을 내건 국민의힘(113명·53.1%)과 그에 맞서는 민주당(114명·57.9%)이 별반 다르지 않았다.
올해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1960년대생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7%(421만7,116명)에 불과하다. 7.7%에 속하는 이들이 국민 절반 이상을 대표하는 기형적인 구도다.
연령대로 살펴보면 '육대남(60대 남성)' 비율은 국민의힘이 42.7%(91명), 민주당은 35.5%(70명)였다. 50대 남성이 뒤를 이었다. '오대남(50대 남성)' 비율은 국민의힘이 28.6%(61명), 민주당은 40.6%(80명)였다. 국민의힘은 60대 남성이 많고 민주당은 50대 남성이 많지만, 여야 모두 5060남성이 전체 지역구 후보자의 70%를 넘어서는 셈이다. 남녀 합쳐 40대는 각각 24명(11.3%)과 14명(7.1%), 30대 이하는 7명(3.3%)과 5명(2.5%)에 불과했다.
국제적 추세와도 거리가 있다. 2021년 국제의회연맹(IPU) 보고서에 따르면 45세 미만 의원 비율 평균은 30.2%다. 반면 우리의 경우 이번 총선에 나설 45세 미만 후보자는 여야 각각 7%(15명), 6%(11명)에 불과하다. 벨기에(54%) 네덜란드(52.7%) 스웨덴(47.5%) 노르웨이(45%) 등 일부 북유럽 국가들과는 비교하기 민망할 정도다.
남녀 성비 또한 차이가 크다. 여야가 공천을 확정한 여성 후보자 비율은 10%를 겨우 넘겼다. 국민의힘은 25명(11.7%), 민주당은 33명(16.8%)에 그쳤다. 절반을 여성으로 추천해야 하는 비례대표 후보를 확정하고 나면 수치가 올라가겠지만 여전히 압도적인 '남초' 우위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 독일(35.1%) 영국(34.5%) 미국(29.4%) 모두 우리보다 두 배 이상 여성 비율이 높다.
특히 30·40대나 여성 후보자의 경우 여야 할 것 없이 대개 '험지'로 내몰리고 있다. 국민의힘 30대 후보자 7명 가운데 '친윤석열' 후보인 장예찬(부산 수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 조지연(경북 경산) 전 대통령실 행정관을 제외하면 5명이 서울이나 경기의 험지로 출마했다. 민주당도 상황은 비슷하다. 친이재명계인 안귀령(35) 민주당 부대변인은 양지인 서울 도봉갑에 전략공천됐지만, 최연소 후보인 우서영(28) 전 민주당 경남도당 대변인은 험지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에서 공천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