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의 덕질도 존중해 주세요”… NCT 열혈팬이 수어통역 바라는 이유

입력
2024.03.05 04:30
11면
[인터뷰] 청각장애인 NCT팬 이차주씨
통역 요청에 "알아서 하라"는 기획사
매뉴얼도 부재... 매번 설명·요구해야
"장애인 팬의 아이돌 향유권도 소중"

나비처럼 팔랑대는 그의 활기찬 손이 눈썹 위 굴곡진 뼈를 둥글게 어루만진다. 이윽고 그 손은 활짝 웃는 얼굴을 가로질러 입매 왼쪽과 오른쪽 옆 보조개를 차례로 짚는다.

청각장애인 이차주(35)씨는, 방금 그가 가장 사랑하는 아이돌그룹 엔시티(NCT) 멤버 두 사람의 이름을 온 얼굴로 외쳤다. 농인들은 이렇게 친밀한 상대의 이름을 부를 때, 지문자(손가락으로 자음·모음을 나타내는 것)로 일일이 철자를 쓰는 게 아니라 그 사람 고유의 특징을 잡아내 수어로 표현한다. 이른바 '얼굴이름'이다.

차주씨가 가장 좋아하는 NCT 멤버는, 갈매기 눈썹을 가진 마크(25)와 웃을 때 보조개가 패이는 재현(27)이다. 두 멤버의 얼굴과 평소 행동을 골똘히 살핀 뒤 몇 밤을 고민해, 차주씨가 직접 만든 얼굴이름이란다. 비록 마크와 재현의 목소리를 들을 순 없지만, 차주씨의 열정은 청인(농인이 아닌 사람을 지칭하는 말) 열혈팬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수어통역사, 기획사는 모르쇠

하지만 열정 많은 차주씨의 NCT 덕질(어떤 분야를 열렬히 좋아하며 파고드는 것)은 지금까진 고난의 연속이다.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무대를 직접 보러 갈 때마다 연예기획사는 장애인 팬을 없는 존재로 치부했다. 그러나 듣지 못한다고 덕질을 못할 거란 건 청인들의 철저한 편견. 즐기기 위해선 싸워야 했다. 그래서 차주씨는 오늘도 전화를 걸어 "(공연이나 팬미팅에) 수어통역사를 배치해줄 수 있냐"고 묻는다.

지난달 1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이 하나 올라왔다. NCT 재현의 생일을 기념해 열린 팬미팅 날 수어통역사가 배치됐다며 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의 배려를 칭찬하는 내용이었다.

그 순간 차주씨 심장은 덜컥했다. '기획사의 배려'처럼 말이 돌았지만, 실상은 차주씨가 개인적으로 돈 들여 데려간 수어통역사였다. 팬미팅 티켓 예매에 성공한 뒤 그는 회사에 통역사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결국 실랑이 끝에 차주씨가 알아서 하는 걸로 ‘합의’가 이뤄졌다.

처음 있는 일도 아니었다고 차주씨는 한숨을 쉬었다. 2022년 처음으로 간 콘서트는 심장이 터져버릴 만큼 벅찼지만, 동시에 외로운 경험이었다. 응원봉의 초록 불빛으로 물든 콘서트장, 수 만 명 팬 속에 섞여 목이 터져라 응원했는데, 문제는 무대가 끝난 후였다. 멤버들 말에 주변 팬들이 펄쩍 뛰며 웃었지만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차주씨만 알아들을 수 없었다. 아티스트를 향한 애정으로 모든 팬이 하나가 됐지만, 그 순간만큼은 혼자 동떨어진 느낌이었다고 했다.

그래서 다음 공연을 앞두고 차주씨는 공연 주최 측에 전화를 걸어 요청했다. “현장에 통역사를 배치해 주세요.”

이게 무리한 요구일까? 아니다. 현행법이 보장하는 정당한 권리행사다. 2016년 제정된 한국수화언어법에 따르면, 수어는 '한국어와 동등한 자격을 가진' 농인의 고유 언어다. 한국어 차별이 어불성설인 것처럼, 수어를 쓴다는 이유로 어떤 영역에서든 차별받아선 안 된다.

일부 기획사에서는 농인이 청인과 똑같이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자막을 제공하는 등의 맞춤 서비스를 갖췄다. 예컨대 하이브에서는 고객센터로 수어 통역 서비스 요청이 접수되면 통역사를 섭외해 전용 관람석을 농인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회사 차원의 배치는 불가하다’는 답만 돌아왔다.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아야 하는 만큼 농인과 통역사는 눈을 맞춘 채 마주 앉을 넓은 공간이 필요한데, 이를 설명하니 차주씨는 공연장 구석의 휠체어석으로 안내받았다.

이후로도 최소 5번의 행사에서 같은 요청을 했지만 알아서 섭외하란 식의 답만 돌아왔다. “티켓팅의 벽을 넘은 뒤가 더 힘들어요. 싸우고 준비해야만 남들처럼 공연을 즐길 수 있거든요.” 게다가 수화기 너머 직원은 매번 농인팬의 요청이 처음이라는 듯 반응한다. 그래서 매번 똑같은 설명을 하고 부탁해야 하는데, 통신중계서비스(TRS)를 거쳐야 해서 보통 하루에서 이틀이 걸린다. 현장에 갔는데 “휠체어가 없으면 휠체어석에 못 앉는다” 며 마찰이 생긴 적도 있다. 듣지 못하는 것일 뿐, 걷지 못하는 게 아님에도.

”귀 안 들리는데 뭔 콘서트“ 비수 된 말들

편견에 상처받는 일도 잦다. “노래를 못 듣는데 콘서트엔 왜 오냐”는 공연 주최 측 말에 속상한 적도 있었다. 차주씨는 3살 때 고열을 앓고 청각을 잃은 뒤 소리를 들을 수 없다. 그렇다고 그가 무대의 재미를 모르는 건 결코 아니다. 힘 있게 맞아떨어지는 안무를 보면 스트레스가 절로 풀리고, 가사는 자체로 응원이 된다. 노래를 들을 수 없지만 쿵쿵 울리는 박자나 리듬은 전부 외웠다. 특히 센 비트의 ‘영웅’과 ‘소방차’를 제일 좋아한다며 차주씨는 웃었다.

통역사와 함께한 첫 콘서트의 감동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고 한다. “통역사 없이 공연을 보면 ‘추리’ 하느라 머리가 바빠요. 공연장이 워낙 커 비트가 크게 울리고, 춤도 잘 안보이거든요.” 그런데 통역사로부터 가사 첫 구절을, 팬들을 향한 멤버들의 말과 수만 팬들의 호응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자 마침내 현장이 온전히 들렸다.

그 즐거움이 자연스러워지는 세상을 위해 차주씨는 더 앞장서 목소리를 내겠다고 다짐했다. 그가 통역사와 콘서트장을 찾은 사진을 올렸더니, 다른 가수의 농인팬이 ‘어떻게 했냐’며 연락이 온 적이 있다. “그런데 그간의 시행착오를 듣더니 ‘나는 그렇게까지 할 자신이 없어 TV로 만족할게’라며 포기하더라고요. 속상했죠.” 지난달 14일 팬미팅 사건 후 차주씨가 내건 해시태그 “#장애인의_덕질도_덕질이다”는 1만회 이상 공유되며 호응을 얻었다.

차주씨는 장애인 팬의 요청이 특이하고 귀찮은 민원으로 치부될 것이 아니라고 힘주어 말한다. 그래서 통역사 섭외나 자막 지원 등의 배리어 프리(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매뉴얼이 케이팝 업계에 자연히 자리잡는 날을 꿈꾸며 또 전화를 건다. 그리고 이 말을 반복한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이차주, 저는 농인입니다. 다른 이들처럼 공연을 볼 수 있도록 수어통역사 배치를 부탁합니다.”

춘천= 이유진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