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끼 2500만원 포스코 이사회, 이러니 '거수기'일밖에

입력
2024.01.13 04:30
19면

포스코홀딩스가 지난해 8월 캐나다에서 초호화 이사회를 열며 7억 원 가까운 경비를 쓴 것으로 드러났다. 사내외 이사 12명과 임원 4명 등 16명의 1주일은 한 차례의 이사회와 대부분의 관광 일정으로 채워졌다. 총 식사비 1억 원 중엔 와인을 포함해 2,500만 원을 지불한 경우도 있었다. 두 차례 골프엔 1,000만 원, 50분간 전세 헬기를 타는 데엔 1억7,000만 원이 사용됐다.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뛰는 기업이 해외 이사회를 연 걸 나무랄 순 없다. 견문을 넓히고 해외 사업장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식을 벗어난 과도한 경비는 의혹을 살 수밖에 없다. 이 정도로 극진한 접대를 받으니 이사회가 형식적인 거수기 역할에 그치는 것 아니냔 목소리도 높다. 시민단체에선 차기 회장 선임을 앞두고 최고경영자(CEO) 후보추천위원회에 들어가는 사외이사들을 상대로 로비가 이뤄진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포스코뿐 아니라 민영화한 기업이나 주인이 뚜렷하지 않은 금융사의 경우 현 경영진과 유착하기 쉬운 사외이사 중심의 CEO 선출 시스템은 셀프 연임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황이다.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할 사외이사가 현 경영진 이익만 대변하니 전체 주주의 권리를 침해하는 일도 적잖다. 이사회가 제 역할을 하도록 공정한 선임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포스코는 일제강점기 피해에 대한 배상 성격의 대일 청구권 자금이 투입된 포항제철소를 모태로 한 그룹이다. 한 푼도 허투루 써선 안 된다는 게 포스코인들의 태도와 사명감이었다. 초호화 해외 이사회는 이런 역사와 제철보국의 정신을 무색하게 한다. 경찰은 철저한 수사를 통해 업무상 배임과 불법 회계처리, 청탁금지법위반 여부 등을 엄정히 밝혀야 할 것이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포스코 회장직을 마치 전리품으로 여기고 조직을 뒤흔드는 행태도 문제지만 경영진이 '자신들의 왕국'을 지키려고 회삿돈을 펑펑 써가며 안간힘을 쓰는 것도 꼴불견이다. 초심으로 돌아가는 게 더 이상 국민과 역사 앞에 부끄럽지 않은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