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판세 흔들어... 폄하 발언 혼쭐, 앞다퉈 맞춤 공약 구애

입력
2023.11.22 13:00
3면
정동영 "6070 투표" 발언, 총선 흐름 바꿔
박근혜 기초연금 도입 등 경쟁적 노인 구애
2030↓ 6070↑… 예산 심의서도 정책 경쟁

'세대론'은 역대 선거에서 승패를 좌우하는 결정적 변수였다. 특정 세대의 반감을 살 수 있는 언행으로 논란이 불거져 선거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했고, 유세과정에서 세대별 맞춤 공약을 제시해 재미를 보기도 했다.

특히 고령층의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선거 영향력은 더 막강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정당들은 선거를 앞두고 ‘노인 구애’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이른바 ‘노인 폄하’ 발언은 대표적 악재로 꼽힌다. 17대 총선이 한 달도 남지 않은 2004년 3월 정 전 의장은 “60대, 70대는 투표 안 해도 괜찮아요. 집에서 쉬셔도 되고”라고 말했다가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정 전 의장이 당 의장과 공동선대위원장 사퇴를 선언했지만 바뀐 흐름을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발언 전까지만 해도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에 힘입어 열린우리당의 200석 획득이 가능하다는 관측이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절반을 간신히 넘긴 152석에 그쳤다.

고령 유권자의 위력을 절감한 각 정당은 적극적인 구애에 나섰다. 2012년 대선 때의 ‘기초연금’이 대표적이다. 당시 후보였던 박근혜 전 대통령은 “기초노령연금을 보편적 기초연금으로 확대해 소득에 관계없이 모든 노인에게 월 20만 원의 연금을 지급하겠다”고 공약해 선거 승리의 주춧돌을 놓았다.

다만 실제 기초연금을 받게 된 고령자는 소득 하위 70%로 제한됐다. 이후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해 인상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이에 편승해 기초연금 공약을 경쟁적으로 내놓았다. 지난해 대선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기초연금을 1인당 월 30만 원에서 40만 원으로 인상하겠다고 약속했고, 경쟁자였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이에 더해 ‘부부감액’ 제도를 폐지하자고 강조했다.

선거에서 고령층의 존재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 분석자료를 보면 지난 대선에서 60세 이상 투표자 비율은 32.4%로, 39세 이하(29.4%)보다 3%포인트 높다. 인구수는 39세 이하(32.2%)가 60세 이상(29.8%)보다 더 많았지만 선거 응집력은 달랐던 셈이다. 총선 전체 투표자 가운데 6070세대의 비중은 2012년 26.1%, 2016년 28.0%, 2020년 31.5%로 증가세가 완연한 반면 2030세대는 같은 기간 각각 31.1%, 31.7%, 29.7%로 정체돼 있다.

총선을 앞두고 내년 예산 심의가 한창인 여야의 시선 또한 고령층에 꽂혀 있다. 국민의힘은 고령자 임플란트 건강보험 확대,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 대상 확대 등을 약속했다. 이에 맞서 민주당은 요양병원 간병비 시범사업 예산을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연관기사
• 2024 '그레이 총선'... 6070 유권자 수 2030 처음 앞섰다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12009350003303)
• '그레이' 지역구 59곳→113곳 두 배 늘어… 수도권·PK 지각 변동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12011320005656)


박세인 기자